봉황 한 쌍 품은 보자기… 겹겹이 비단 감싼 옥책… 품격 있는 왕실 포장술

봉황 한 쌍 품은 보자기… 겹겹이 비단 감싼 옥책… 품격 있는 왕실 포장술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6-27 22:46
수정 2017-06-28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궁박물관 ‘조선왕실 포장 예술’展

조선 왕실에서는 혼례 때면 200여점의 보자기를 만들어 혼례품을 감쌌다. 비단을 직조할 때나 그려 넣을 땐 장수, 자손 번창, 다복 등을 상징하는 동물과 꽃, 과실들을 채워 넣어 품격과 권위를 더했다. 겹보자기 하나에도 홍색과 노랑색, 보라색과 연두색 등 찬연한 보색 대비를 넣어 물건 보관이라는 기본적 기능에 더해 미적 감각을 한껏 부려냈다.
보라색 명주와 청색 무명으로 만든 은시접 겹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보라색 명주와 청색 무명으로 만든 은시접 겹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주연인 내용물을 감싸는 조연으로 늘 관심의 뒤꼍에 있었던 ‘포장’이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9월 3일까지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조선왕실의 포장 예술’ 특별전에서다. 궁중 보자기, 장신구나 서책을 넣는 비단 상자, 왕실의 의물을 보관하는 봉과(封裹) 물품 등 조선 왕실의 화려하고 격조 높은 포장술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다.
마직물 네 폭으로 만든 봉황문 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마직물 네 폭으로 만든 봉황문 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혼례 등 왕실의 경사스러운 행사 때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네 폭 봉황문 보자기는 압도적인 크기로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흰색 마 바탕에 붉은 안료로 고급스러움을 더한 보자기에는 마주 보고 있는 봉황 한 쌍이 한가운데 자리해 있다. 봉황 주변에는 장수, 부귀, 다남 등을 기원하는 모란과 접시꽃, 귤·복숭아·석류·불수감 등의 과일 무늬가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명안공주의 세 폭 운보문 겹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명안공주의 세 폭 운보문 겹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가 1681년 혼례 때 혼례품을 싸 간 흑색 겹보자기는 300년 넘는 세월을 견디느라 군데군데 해졌지만 지금도 기품과 윤기를 머금고 있다. 보물 제1220호로, 왕실 보자기로는 드물게 제작 연도가 남아 있다.
영친왕비 쌍가락지, 장도 노리개와 포장 용구.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영친왕비 쌍가락지, 장도 노리개와 포장 용구.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왕과 왕비의 인장인 어보, 왕비를 책봉하거나 왕과 왕비·대비 등에게 존호(덕을 기리며 바치는 칭호), 시호(죽은 뒤에 행적을 기리는 칭호) 등을 올릴 때 옥조각에 내용을 새겨 첩으로 엮은 옥책(玉冊) 등 중요한 국가 의례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포장하는 봉과 물품은 ‘싸고 또 쌌던’ 왕실 포장술의 정성이 그대로 담겨 있다.
오색 꽃무늬 비단으로 만든 첩갑(帖匣).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오색 꽃무늬 비단으로 만든 첩갑(帖匣).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1726년 왕세제빈이었던 정성왕후(1692~1757)가 왕비로 책봉될 때 만들어진 옥책은 판과 판 사이에 일일이 작은 판 보자기를 끼워 마찰과 충격을 최대한 줄였다. 영친왕비의 쌍가락지와 장도노리개 등을 싼 보자기와 상자는 두꺼운 색지로 감싸 모양을 잡은 뒤 장신구를 끈 달린 비단 겹보자기로 싸고 다시 상자에 넣는 세심함이 돋보인다. 박수희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영친왕비의 장신구를 담은 상자와 보자기들은 조화로운 색감과 문양으로 조선 왕실 여성의 품격 있는 생활상을 보여 준다. 가례, 국장 등 왕실 의례 과정에 쓰인 인장, 책 등도 받은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재질과 색의 보자기, 함에 담겨져 왕실의 존엄을 드러냈다”고 했다. (02)3701-7500.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6-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