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18년엔 ‘마블’ 개봉에 맞춰… 올해는 코로나 탓? 영화관람료 1000원 인상의 경제학

2016·2018년엔 ‘마블’ 개봉에 맞춰… 올해는 코로나 탓? 영화관람료 1000원 인상의 경제학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11-23 22:30
수정 2020-11-24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 한 편에 ‘1만 3000원’ 시대

코로나로 신작 줄고 OTT 직행 늘자
멀티플렉스 “고정비 늘고 관객 줄어”


티켓파워 작품 개봉 직전 인상 ‘꼼수’
‘인피니티 워’ 개봉으로 매출 6.2% 쑥
이미지 확대
멀티플렉스 극장들이 관람료를 줄줄이 인상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업계 1위인 CGV가 지난달 중순 관람료를 평균 1000~2000원 올린 데 이어 메가박스가 23일부터, 롯데시네마는 다음달 2일부터 1000원씩 인상한다. IMAX나 4DX 등 특수관을 제외한 일반 2D 영화를 기준으로 8000원~1만 3000원으로 조정된다. 멀티플렉스 극장들은 코로나19를 이유로 댔지만 반응은 차갑다. 2018년 관람료를 인상했을 때도 극장들은 임차료, 관리운영비 등 고정비용을 인상 원인으로 꼽았지만 속내는 딴 데 있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2018년 낸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극장관람료의 상관관계’ 보고서에 따르면 CGV 좌석차등제 도입(2016년 4월 3일), 관람료 1000원 인상(2018년 4월 11일)은 모두 마블 영화 개봉 직전이었다. 보고서는 이를 두고 “확실한 티켓파워가 있는 작품 개봉 전에 관람료를 인상하면 더 큰 매출액 증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어벤져스’ 시리즈에 편승했던 멀티플렉스의 ‘꼼수’를 영화계에서도 부정하지 않는 탓에 “상황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관람료를 인상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관행처럼 올리는 1000원 단위 인상도 논란이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과거 카드 사용이 많지 않던 시절 현장에서 티켓 구매 시 빠른 결제를 위해 잔돈이 필요 없는 1000원씩 올린 게 관행처럼 굳어졌다”면서 “관람료가 1만원을 돌파했을 땐 저항이 상당했지만, 이후엔 1000원 단위 인상에 심리적인 부담감이 다소 약해졌다는 판단도 있다”고 말했다.

1000원 인상의 효과는 의외로 크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관객이 1123만명이었으니 영화 한 편으로 전체 매출이 112억원 뛰었다. 2018년 기준 전체 극장 매출액이 1조 8140억원이었음을 따져볼 때, 극장 매출의 6.2%를 한꺼번에 끌어올린 셈이다.

그동안의 관람료 인상이 극장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였다면 이번 인상은 코로나19 불황에 살아남기 위해서라는 게 극장들의 한결같은 답변이다. CGV 관계자는 “고정비는 올해에도 올랐지만, 코로나19로 관객이 대폭 떨어졌다. 희망퇴직, 운영시간 축소, 영업 중단, 급여 반납에 이어 고육지책으로 가격 인상이라는 방안을 꺼낼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올해 10월까지 관객수는 전년(2억 2668만명)의 4분의1 수준인 5449만명에 그쳤고, 매출 역시 정비례로 떨어져 4658억원을 기록했다. 1조 9140억원이던 전년과 비교 자체가 무색하다.

불록버스터 영화 제작도 급감했다. 제작비 100억원 이상 국내 영화가 지난해 11편이었지만, 올해는 5편에 불과하다. 코로나19로 신작 개봉이 미뤄지고, 영화 콘텐츠가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으로 빠져나가면서 제작·배급사 수익을 맞춰 주기 어려운 악순환도 시작됐다.

관람료 수입을 극장과 제작·배급사가 나누는 ‘부율’은 현재 5대5 정도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관람료 인상 효과가 극장뿐 아니라 제작·배급사에도 돌아가야 영화계도 살아난다”면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이번 관람료 인상이 코로나19 탓에 어쩔 수 없음은 납득할 만하지만, ‘꼼수 인상’ 지적을 받지 않기 위해선 영화계의 변화가 필요하다. 도동준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팀장은 “한국 영화시장의 규모나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으로 볼 때 관람료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극장을 비롯해 영화계가 적극적으로 나서 관람료 인상 근거를 구체적으로 설득력 있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11-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