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이론을 끌어오지 않고 이론을 능가… ‘눈먼 문학’에 길을 묻다

[2018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이론을 끌어오지 않고 이론을 능가… ‘눈먼 문학’에 길을 묻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12-31 17:16
수정 2017-12-31 18: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홍수·김미현

평론 부문 투고작들은 세월호 사건이나 문단 내 성폭력 등의 재난 ‘이후’를 차분하게 성찰하는 글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크게 이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본질적이고, 비판을 하면서도 공감을 구하려는 모색의 결과일 듯하다. 또한 인용 위주의 이론은 공허하고 날것의 사건은 정치적이기에 그런 외부의 진앙으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문학의 본질에 관한 질문을 멈추지 않으려는 시도로도 보인다.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정홍수(왼쪽)·김미현(오른쪽) 문학평론가.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심사위원 정홍수(왼쪽)·김미현(오른쪽) 문학평론가.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절망의 가능 시계-임승유, 안희연, 백은선의 시세계”의 미덕도 바로 이런 ‘절망을 절망’하는 젊은 시인들의 긍정적인 주체에 주목했다는 점이지만 무기력에서 벗어나려는 이들의 시도를 ‘말할 수 없는 것들의 발화’로 귀착시킨 점은 다소 공허해 보였다. “쇼코의 미소를 보기까지는-최은영론” 또한 공허한 대문자주의와 자폐적 소문자주의 사이에서 정체되었던 한국 소설에 돌파구를 마련해 준 최은영의 소설이 지닌 공감과 연대의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적실성을 확보했으나 좀더 도발적인 문제 제기가 아쉬웠다.

당선작인 “그림자 필경사-김소연의 시세계”는 그림자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존재의 맹점에 주목하면서도 그런 맹점의 파쇄가 아닌 보완에 가치를 두는 시인의 판화적(版?的) 글쓰기에서 문학의 본질을 발견한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어둠이 아니라 어둠을 어둠으로 보는 어둠을 그려 내는 필경사로서의 시인의 매력을 시답게 읽어 내는 감수성이 탁월하다. 이론을 끌어오지 않으면서 이론을 능가하니 오히려 철학적이다.

‘눈먼 문학’에게 길을 물을 수 있게 해줘서 다행인 만큼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도 크다.

2018-01-0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