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해’ 마무리하는 심재찬 위원장
“많은 작품 내기보다 연극인 목소리 경청더 나은 창작환경 조성 위해 머리 맞대
진정한 ‘연극의 해’는 지금부터가 시작”

심재찬 집행위원장
“단발성으로 끝나는 축제 형식을 지양하고 대신 눈에 잘 보이지 않더라도 연극인들에게 스며들어 체질을 바꿀 수 있는 게 훨씬 중요했다”고 심재찬 집행위원장은 강조했다. “작품도 하나 없이 이게 무슨 연극의 해냐는 불만도 많았지만 좋은 창작 기반이 마련돼야 더 좋은 연극을 만들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면서다.
최근 서울 대학로에서 만난 심 위원장은 “진정한 연극의 해는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관성으로 반쪽짜리 연극을 만들어 왔던 연극계가 성찰할 기회를 가졌다”면서 “눈에 보이는 작품은 없더라도 더 좋은 작업 환경을 위해 함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게 성과”라고 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미투’ 사건을 거쳐 코로나19까지 잇단 위기는 연극인들에게 건강한 창작 환경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했다. 집행위가 대표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대신 젠더, 청년, 세대 공감, 공정한 보상, 복지 등 기반을 다지는 사업을 꾸린 이유도 마찬가지다.
심 위원장은 “무엇이 문제인 줄 알면서 그냥 넘어가면 기술적으로는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있어도 그 이상을 뛰어넘지 못한다는 위기의식이 컸다”고 부연했다. 그는 그동안의 문제를 “동등하지 않았다”는 말로 축약했다.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무대 위 누구나 같은 대우를 받고 공존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의미다. 올해는 주로 비대면이었지만, 연극인들이 꾸준히 머리를 맞대고 조금씩 용기를 내 서로의 목소리를 듣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연극의 해 집행위는 내년 2월 종료되지만 올해 다뤄진 사업들이 꾸준히 이어질 수 있도록 고심하고 있다. 특히 연극인들이 서로 고민 상담을 하는 연극인 공감 120, 한국공연예술자치규약(KTS) 워크숍, 공정보상 체계를 위한 기초 연구, 전국 연극인 젠더 감수성 워크숍 등을 지속하도록 문체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과 후속 조치를 협의하기로 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12-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