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가’의 하이라이트로 꼽히는 인당수 장면. 국립극장 제공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지난 26일 개막해 10월 1일까지 하는 ‘심청가’는 모르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 효녀 심청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혼자서 부르면 5시간이 넘는데 창극 ‘판소리’는 알짜배기만 압축해 2시간 30분짜리로 만들었다.
등장인물이 여럿 등장함에도 명창 혼자 끌고 나간다는 점은 판소리를 잘 모르는 관객들에겐 문턱을 높이는 요소다. 창극 ‘심청가’는 이런 어려움을 없앴다. 등장인물을 가리지 않고 혼자서 모든 배역을 소화하는 판소리와 달리 배우들이 각자 맡은 역할을 소화하며 실타래처럼 엉킨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고 재미나게 풀어냈다.
판소리와 가장 다른 매력이 돋보이는 부분은 합창이다. 35명의 출연진이 서양의 오페라 못지않은 웅장한 화음을 만들어낸다. 손진책 연출은 “판소리가 가진 소리의 힘을 증폭하는 수단으로 합창을 사용했다”면서 “판소리가 가진 파워는 외국에서도 인정할 정도인데 이를 어떻게 확대할까 생각하다 합창을 넣었다. 원래 혼자 하는 소리도 함께 소리를 내도록 연출해 감정을 증폭했다”고 밝혔다.
심봉사를 맡은 유태평양은 20대 때부터 이 역할을 연기했다. 관객들은 1992년생의 젊고 건장한 심봉사를 만나게 된다. 국립극장 제공
그러나 국립창극단 ‘심청가’에서는 보란 듯이 젊고 건장한데다 동냥이 필요 없을 것 같은 청년을 심봉사로 내세워 늙고 가난한 심봉사의 이미지를 파격적으로 깼다. 관객들은 노인 분장도 하지 않은 젊고 힘이 넘치는 싱그러운 심봉사를 만날 수 있다. 20대부터 심봉사를 맡았던 유태평양은 “어린 나이에 심봉사를 하기 시작해 심봉사님께는 조금 죄송하지만 최대한 캐릭터를 잘 살리겠다. 30대가 된 후에 처음 맡는 거라 20대 소리에서 벗어나서 30대의 깊은 소리를 멋있게 들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짧은 분량이지만 강렬한 존재감을 뽐내는 뺑덕어멈의 등장은 우리 전통 소리가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며 같이 즐겁게 놀 수 있는 장르임을 새삼 일깨운다. 수줍게 추임새를 넣던 관객들은 뺑덕어멈의 유쾌한 연기에 절로 추임새를 흥겹게 넣었고 객석에는 웃음이 번졌다. 배우들의 명품 연기는 판소리에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한 매력을 더했다.
‘심청가’는 인당수에 빠진 심청과 황후 심청을 다른 배우들이 연기함으로써 극으로서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게 했다. 국립극장 제공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은 “모두가 알고 있는 이야기라 처음 창극을 보는 관객이라도 소리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배우들은 어떻게 표현하는지 집중하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추석쯤 우리 전통 소재를 바탕으로 한국적 정체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선보일 계획이니 기대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