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주 크리스티나 영은 지난 2월26일 페이스북에 비슷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가지고” 핏불테리어 반려견 ‘피티’를 잃은 사연을 공유했다.
견주는 지난달 말 미국 텍사스 주(州) 자택에서 피티에게 뽀뽀를 해주고 출근했다. 하지만 그 모습이 피티의 마지막이 될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견주의 배우자는 그날 견주보다 먼저 퇴근해서, 피티가 자신을 반겨주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여기고 집안을 살피기 시작했다. 그리고 감자칩 봉지를 머리에 뒤집어 쓰고 질식사한 피티를 발견했다.
견주는 “피티는 영리한 개라서 왜 앞발로 봉지를 벗겨내지 못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며 “통계를 조사한 후 이런 질식사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 알고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견주가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매주 반려동물 3~5마리가 질식사하고, 질식사 사고의 42%는 견주가 옆방에 있을 때 벌어졌다. 반려동물이 질식사하는 데 약 3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견주는 “과자 봉지, 시리얼 봉지, 빵 봉지, 팝콘 봉지, 사료 봉지 등이 가장 흔한 것으로 보인다”며 “피티를 기념하며 견주들에게 더 조심하라고 요청하고 싶고, 아무도 이런 가슴 아픈 일을 경험하지 않길 기도한다”고 끝을 맺었다.
이 비극은 피티만 겪은 것이 아니다. 견주 보니 할란도 과자봉지 질식사로 반려견 ‘블루’를 잃은 뒤인 지난 2011년 반려동물 질식사 예방 단체(Prevent Pet Suffocation)를 세웠다. 할란은 “보통 매주 반려견 질식사 사고 소식이 3~4건 들어온다”며 “내가 듣고 서류 처리한 것만 550마리가 넘어서, 세계적으로는 더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의사 단체 ‘프리벤티브 벳’의 제이슨 니콜라스 수의사는 “개나 고양이 한 마리가 봉지에서 과자 부스러기를 뒤지다가 질식사하는데 짧으면 3~5분이 걸린다”고 경고했다. 니콜라스 수의사는 “크기, 연령, 힘 등에 관계없이 어떤 반려동물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사고”라며 “심지어 주인이 집안에 있어도 벌어질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노트펫(notepet.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