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뇌물천하였다】 정구선 지음 팬덤북스 펴냄
평양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라고 했다. 좋은 일을 마다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일 텐데, 도대체 평양감사가 얼마나 ‘물 좋은’ 자리였길래 이런 말이 나왔을까. 평양 감영은 조선에서 가장 활발하게 대외무역을 펼치던 의주·평양상인을 통제하던 곳이다. 뭉칫돈이 굴러다니는 길목을 지키고 섰으니 평양 감영 앞에 떨어지는 ‘떡고물’의 양도 적잖았을 터. 평양 감사 자리에 오르기만 하면 앉아서 숱한 뇌물을 챙길 수 있었다. 물산이 모이는 곳에 자연스레 논다니들도 꼬였을 테고, 평양 기생 운운하는 얘기도 필경 그래서 나왔을 거다.‘조선은 뇌물천하였다’(정구선 지음, 팬덤북스 펴냄)는 뇌물 풍조가 만연했던, 태조부터 성종까지의 조선 초기 정치 사회사를 들춰내고 있다. 세종실록 등을 근간으로 삼은 탓에 문체는 다소 딱딱하지만 혀를 찰 내용들로 가득하다.
조선의 뇌물 수수 관행은 임금도 어쩌지 못했던 모양이다. 세종 때 이런 일도 있었다. 평소 온천욕을 즐긴 세종이 어느 해 온양 온천으로 출행했다. 임금과 더불어 중앙의 고관대작들이 내려온다는 ‘낭보’를 들은 충청 감사 이익박이란 자가 쌀 60섬에 콩 56섬을 온양까지 싣고 와 몽땅 풀었다. 이 사실이 드러나자 사헌부에서 ‘떡값’ 받은 자들을 죄다 처단하겠다며 날뛰었으나 세종이 만류하는 바람에 슬그머니 없던 일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세종이 댄 이유가 기막히다. “뇌물을 주고받은 사람을 모두 법대로 처치한다면 조정의 신하들을 전부 바꾸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란다. 공직 사회 전체가 뇌물을 받아먹는다는 얘기다.
뇌물은 주로 인사 청탁을 위해 동원됐다. 군역을 피하거나 세금을 감면받기 위해, 또는 형벌 감형, 재판 승소 등을 위해 돈을 뿌리는 경우도 많았다. 심지어 암행어사 출두를 미리 알려주는 경우도 있었다. 주로 암행어사와 동행하는 아전들이 고을 수령에게 출두 시점을 귀띔해주고 뇌물을 낚아챘다는 것. 어딘가 오늘날 유흥가에서 벌어지는 풍속도의 데자뷔처럼 느껴지지 않는가.
윗물이 똥물인데 아랫물이 단물일 리 없다. 평양 기생을 첩으로 둔 내시, 대갓집 종놈, 궁궐 안 무수리도 뇌물을 받았다. 성균관에 속한 일부 노비들은 밖에서 ‘제작’한 과거시험 답안을 시험장 안의 응시생에게 전달하는 ‘수고’에 대한 대가로 돈을 받아 챙겼다. 뇌물을 요로에 전달하는 브로커, ‘배달 사고’에 대한 분쟁 처리를 직업으로 삼는 자도 있었다. 이쯤 되면 과연 임금은 뇌물에서 자유로웠는지 궁금해진다.
뇌물이 통하지 않은 선비도 있었다.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정창손은 30여년 동안 정승으로 있으면서 늘 곤궁한 생활을 이어갔고, 성종 때 이조·병조 판서를 역임한 이숭원도 모두가 우러르는 청백리였다. 1만 3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03-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