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시대, 넘치는 지식 축복으로 만들려면…

인터넷 시대, 넘치는 지식 축복으로 만들려면…

입력 2014-02-08 00:00
수정 2014-02-0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식의 미래/데이비드 와인버거 지음/이진원 옮김/리더스북/386쪽/1만 8000원

인터넷의 발달은 지식의 영역에도 혁명적인 변화를 몰고 왔다. 누구나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고 나름의 견해를 덧붙여 새 지식(?)을 창출하기도 한다. 소수자에게 독점되던 지식도 더 이상 폐쇄적인 전문 영역이 아닌 게 많다. 그 현상을 놓고 갑론을박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지식의 네트워킹’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초고속으로 발달하는 인터넷 시대에 지식의 미래는 어떨까.

이미지 확대
‘지식의 미래’는 인터넷과 지식 변화의 상관성을 추적해낸 책이다. 저자는 ‘인터넷은 휴머니즘이다’, ‘웹강령 95’ 등의 저서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미국의 미디어 전문가. 그는 인터넷이 부른 ‘지식의 네트워킹’ 현상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과감히 떨치자고 주문한다. 어차피 인터넷과 네트워크에 종속되는 현대사회의 지식의 운명이라면 차라리 좋은 네트워크를 구축해 양질의 지식과 정보를 얻어내야 한다는 주장이 흥미롭다.

많은 이들은 가속화되는 ‘지식의 네트워킹’에 위기감을 감추지 않는다. ‘짐승 같은 인간들의 부상’, ‘표절주의자들의 승리’, ‘문화의 종말’ 등의 표현들이 그런 위기감의 표출이다.

물론 그런 위기감은 네트워크 덕분에 누구나 지식의 형성에 기여, 혹은 소유할 수 있게 되면서 생겨난 지식의 과부하와 불안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현상을 ‘지식의 위기’가 아니라 ‘지식의 진화’로 향하는 과정에 수반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돌린다.

많은 이들이 경계하는 ‘지식의 네트워킹’ 부작용에 저자가 초연한 이유는 무엇일까. 책의 원제목 ‘Too Big Too Know’(세상은 다 알기에 너무나도 크다)는 그 지론의 바탕인 듯하다. 과학·기술의 확대로 삶에 필요한 도구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지면 필요한 지식의 양도 비슷하게 늘어나기 마련. 종이로 전달되던 폐쇄적인 지식은 이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인간의 두뇌나 도서관과 같은 기관들이 더 이상 지식을 담기에 충분치 않은 세상에서 개개인이 겪는 문제들을 ‘네트워크의 바다’에서 해결하는 의존성은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만연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재앙이 아닌 축복으로 바꾸기 위해 이런 일들을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자료의 방대함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것과, 하이퍼링크로 모든 자료를 연결하고, 기존 기관들이 발전시킨 모든 지식을 반드시 인터넷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의 결론은 이렇게 매듭지어진다. “위기를 두려워하기보다는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 세상을 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더 효과적일 것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2-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