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도서관, 속을 채워라.’과거에 비해 책의 위상이 약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멀티미디어 보급과 함께 종이책이 사라질 것이라던 10년 전의 우울한 예언 또한 실현되지 않았다. 오히려 대통령 소속 위원회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올해 초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년)을 발표했다.
앞서 2009~2013년에 추진된 1차 계획 시기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공공도서관을 곳곳에 세웠다. 2008년 644개관이던 공공도서관은 2012년 828개관으로 늘고, 학교도서관 역시 1만 262개관에서 1만 1506개관으로 늘어 전체 학교에 100% 설치됐다.
외형적인 성장이 있었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인프라 구축에 부실함이 드러난다고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판단했다. 공공도서관 1개관당 봉사대상 인구 수는 2012년 6만 1532명으로 일본(3만 9813명), 미국(3만 4493명), 영국(1만 4826명), 독일(1만 60명)에 크게 못 미쳤다.
전영웅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장은 10일 “앞으로 5년 동안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를 확대해 학생 등 특정 계층뿐 아니라 전 세대가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독서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영유아에게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어린이·청소년에게는 도서관 활용수업과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청장년에게는 취업·창업 정보와 인문정신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식이다.
특히 인구 급증이 예상되는 노인이 도서관에서 건강 정보를 얻고 재능기부를 하거나 재취업 정보를 얻는 공간으로 도서관을 활용할 계획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2-1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