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면 41기, 지하 6기 흔적 찾아...“주인 명확하면 가치 높아”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현황. 새롭게 확인된 추정 고분은 41기이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백제 웅진도읍기(475∼538년) 왕실 묘역인 송산리고분군에서 지표조사와 지하 물리탐사를 통해 야산에 41기, 지하에 6기의 고분이 더 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소는 지난 2~3월 실내조사를 하고, 4월 지표조사를 진행해 야산에 41기의 고분 존재 가능성을 추가로 확인했다. 신라, 가야와 달리 백제는 지하에 매장시설을 두고 봉분을 크지 않게 조성한다. 지표면에서 고분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았지만, 연구소는 “고분의 흔적, 입지특성, 지형분석 등을 통해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1~4호분 정비구간에서 확인된 일제강점기 조사 고분의 지하 흔적
조사과정에서 지표면에서 수습된 ‘중방(中方)’ 이라고 적힌 벽돌도 찾았다. 벽돌은 사용한 위치 등 쓰임새를 의미하는 사례가 많다. 특히 발견한 벽돌은 무령왕릉의 긴 벽면에서 창문모양을 장식한 8점과 유사하다. 벽돌 발견 위치가 무령왕릉 남쪽 80m 지점인 점, 일제강점기에 보고된 벽돌무덤인 17호분의 추정 위치와 70m 이상 떨어져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벽돌이 발견된 일대에 또 다른 벽돌무덤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무령왕릉 서벽 창문모양 장식에 사용된 ‘중방(中方)’명 벽돌(좌)과 이번 조사에서 수습한
‘중방’명 벽돌(우).
‘중방’명 벽돌(우).
이 과정에서 무덤의 주인이 명확히 드러날 경우 그 가치는 아주 커진다. 무려왕릉은 삼국 시대 무덤 중 주인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왕릉이어서 가치가 높다. 이성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송산리고분군은 당시 백제 왕가의 무덤군으로 여겨진다. 부여로 천도한 성왕을 제외한 무령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덤일 확률이 있다”면서 “무덤의 주인이 명확히 밝혀지면 사료로서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소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고분 조사에 나선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