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10월 하순이면 인도양의 섬나라 세이셸공화국에서 ‘크레올 페스티벌’이 열린다. 세이셸 문화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는 축제다. 크레올의 정체성을 계승하기 위한 축제이기도 하다. 세이셸뿐 아니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인근 국가의 크레올들이 모여 음악과 춤, 미술, 공예, 음식, 전통문화, 생활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행사들이 펼친다.
이미지 확대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현란한 춤을 선보이는 주민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현란한 춤을 선보이는 주민들.
크레올(Creole)은 다양한 인종이 섞인 현지인을 일컫는 표현이다. 지난 200여년 동안 세이셸에서는 아프리카인, 유럽인, 중국인, 인도인 등 서로 다른 전통과 종교를 가진 인종들이 함께 살아왔다. 이같은 다민족의 핏줄과 문화가 융합되며 세이셸의 정체성은 다채로워졌고, 언어도 불어가 변형된 크레올어와 영어 등을 사용하는 다언어 국가로 발전했다.
이미지 확대
크레올 축제에 참가한 주민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크레올 축제에 참가한 주민들.
애초 세이셸은 무인도였다. 그러다 1742년 프랑스인이 정착해 살기 시작한다. 우리로 치면 조선 영조(18년)가 통치하던 때다. 이 무렵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데려온다. 일꾼으로 쓰기 위해서다. 이후 19세기 초 아프리카 영토 분할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이 세이셸의 새 주인이 된다. 영국의 속국으로 지내던 세이셸은 1976년 독립했다. 세이셸 사람들의 자부심이 남다른 건 이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퍼레이드에 참가한 크레올 학생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퍼레이드에 참가한 크레올 학생들.
‘크레올 페스티벌’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만든 행사다. 다양한 역사 관련 세미나가 열리고, 미술전 등 각종 전시회와 공연 등이 펼쳐진다. 하이라이트는 수도 빅토리아에서 열리는 퍼레이드다. 시가지 전체가 크레올들의 현란한 춤과 땀, 그리고 열기로 가득 찬다. 지치지 않고, 결코 깨질 것 같지 않은 아프리카 특유의 리듬과 흥을 만끽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크레올들의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크레올들의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보통 세이셸 내 여러 섬에서 온 20개 안팎의 팀을 비롯해, 영국, 인도, 모리셔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여러 나라에서 참가한 팀 등 30~40개 팀이 퍼레이드를 펼친다. 참가팀들이 시내 중심부를 거쳐 약 3km 정도 퍼레이드를 벌이는 동안 거리는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찬다. 무더운 날씨에도 참가팀들은 쉴새 없이 역동적인 춤사위를 펼치고, 연도의 시민들은 뜨거운 함성과 응원으로 화답한다.
글·사진 손원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