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세라믹 기술의 다양한 면모를 예술과 결합시킨 이색 전시회가 열린다. 국내 유일의 세라믹 전문연구기관인 한국세라믹기술원과 미술기획사 Hzone은 10~1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세라믹 아트&테크놀러지’전을 개최한다.
이미지 확대
안종연 ‘빛의 영혼’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안종연 ‘빛의 영혼’
전통 세라믹은 도자기나 식기의 소재로 주로 쓰였지만 현대 세라믹은 휴대전화의 햅팁기술, 자동차의 거리 감지 센서,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LED) 등 우리 일상과 밀접한 첨단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시회는 국내외 50명의 작가가 참여해 전통적인 세라믹 제품부터 첨단 기술을 이용한 작품까지 총 500여점을 선보인다.
‘세라믹 컬처관’에서는 세계적 디자이너 카림 카시드가 디자인한 위생도기 작품과 알렉산드로 맨디니와 한국의 해강청자가 협업한 ‘인터아트채널의 청자 프로젝트’, 유럽 8개국 16명의 도자 아티스트가 참여한 작품을 통해 전통 세라믹과 예술적 상상력의 결합을 보여준다.
‘테크 아트관’에서는 압력으로 생긴 진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압전 세라믹 기술, 체온이나 외부 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열전 세라믹 등 첨단 세라믹 기술을 이용한 미술 작품들을 선보인다.
특별 초대 전시인 설치미술가 안종연의 세라믹 센서와 LED 조명을 이용한 ‘빛의 영혼’, 건축가 한원석의 세라믹 스피커 숲은 세라믹 신소재와 신기술을 접목한 세라믹 테크 아트의 새로운 세계를 보여준다. 무료. (02)567-6070.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1-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