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르 아브르’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르 아브르’

입력 2011-12-09 00:00
수정 2011-12-09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난민 돌보는 구두닦이 다가온 ‘빈자의 기적’

비토리오 데시카의 ‘구두닦이’(1946)는 천진난만한 구두닦이 소년에게 닥친 비극을 다룬다. 말을 가지고 싶었던 소년의 꿈은 어른들의 추악한 세계와 접촉하면서 산산조각 난다. 데시카는 2년 후 발표한 네오리얼리즘의 걸작 ‘자전거 도둑’에서 세상이 여전히 차갑고 쓰라린 곳이라고 탄식한다. 결국 그는 다음 작품인 ‘밀라노의 기적’(1951)에서 리얼리스트가 해서는 안 될 짓을 벌인다. 종이와 천 조각으로 차가운 겨울의 땅을 버티는 하층민의 이야기인 ‘밀라노의 기적’은 마지막 장면에서 기적을 베푼다. 가난한 자들이 빗자루를 타고 천국으로 가는 판타지 장면은 영화 역사상 가장 감동적인 순간 중 하나다.

이미지 확대
데시카는 그 장면 위로 ‘안녕이라는 말이 정녕 안녕을 뜻하는 세상을 위해’라는 문구를 삽입했다. 아키 카우리스마키는 데시카의 ‘말씀’을 진정으로 믿는, 아마도 지금 세상에서의 유일한 감독이다. 8일 개봉한 ‘르 아브르’에서 카우리스마키는 또 한 명의 ‘구두닦이’를 현재의 세상으로 데려와 가난한 자들의 연대를 통해 또 한 번의 ‘기적’을 꿈꾸기로 한다. 알다시피 세상은 더욱 메말랐고, 구두닦이는 한물간 노인네다. 살아 있다면 데시카조차 기적이 불가능하다고 말릴 상황이다. 카우리스마키는 특유의 무뚝뚝한 표정으로 위대한 스승의 등을 두드리며 염려하지 말라고 말한다. 그리고 기필코 ‘르 아브르의 기적’을 만들어 보인다.

마르셀은 프랑스의 항구도시 르 아브르에서 거리의 구두닦이로 일한다. 아내 아를레티는 그를 사랑으로 대하고, 그는 그녀를 과분한 존재로 여긴다. 어느 날 치료가 불가능한 병에 걸렸음을 통보받은 아를레티는 의사에게 남편이 사실을 모르도록 해달라고 부탁한다. 아내에게 임박한 죽음을 알 리 없는 순진한 남자 마르셀은 요즘 다른 일에 전념 중이다. 얼마 전 아프리카 난민을 태운 컨테이너가 항구에 잘못 도착했는데, 난민 무리에서 탈출한 소년 이드리사가 마르셀과 우연히 마주쳤다. 마르셀은 소년이 영국 런던에 있는 엄마와 만날 수 있게 작전을 펼친다.

사회학자 울리히 베크는 풍요로운 현대사회가 기실 ‘위험사회’라고 경고한 바 있다. 물론 카우리스마키의 영화가 베크의 사회분석처럼 ‘성찰적 근대화’의 시선으로 ‘진보’를 바라보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그는 작금의 사회가 살기에 좋은 곳이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 풍요롭다 못해 먹을 게 넘쳐나는 자들이 왜 나누기보다 더 소유하기를 바라는 걸까. 착취와 강탈로 유지되는 자본주의사회에서는 1000억원을 번 자가 그 돈을 뱉는 게 마땅하다. 그러나 이미 1000억원을 쥔 대다수는 앞으로 그만큼을 더 원하는 것들이니, 지금껏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는 그런 쓰레기들의 영역에 한 번도 발을 들여놓은 적이 없다.

기적이 일어나야 치료할 수 있다는 의사의 말에 아를레티가 “내 주변에 그런 건 없어요.”라고 대꾸할 때 마음이 아팠다. 기적은 신의 축복이다. 마르셀의 말대로 구두닦이는 서민과 친밀한 직업이며 예수의 산상 수훈을 지키는 사람이다. 그러니까 가난한 자들에게 축복은 당연한 일 아닌가.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를 보다 침묵을 주목했다면 이제는 빈곤한 공간을 살필 일이다. 사는 데 꼭 필요한 것 이상을 갖지도 바라지도 않는 사람들, 신은 가난한 그들에게만 기적을 행한다. 현대인은 타자가 몰려와 자신의 풍요를 빼앗는 위험사회를 두려워하면서도 정작 난민을 막는 그들의 마음이 진짜 위험사회를 만든다는 건 알지 못한다.

영화평론가



2011-12-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