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세 철학자 김형석 “尹대통령, 다른 사람 이야기 들어야”

104세 철학자 김형석 “尹대통령, 다른 사람 이야기 들어야”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5-10 01:20
업데이트 2024-05-10 06: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유민주주의 뒷받침 지식 없어
다방면 학자들과 티타임 가지길
건강 비결은 젊은 사람과의 만남
‘성장’했던 65~70세 때 가장 행복”

이미지 확대
인사말하는 김형석 명예교수
인사말하는 김형석 명예교수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가 9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김형석, 백 년의 지혜’ 출간 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함께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올해 104세 ‘한국 최고령 철학자’로 통하는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윤 대통령에게 건넨 조언이다. 김 명예교수는 9일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열린 ‘김형석, 백 년의 지혜’(북이십일)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를 뒷받침하는 역사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했다”며 윤 대통령이 독선에 빠져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윤 대통령이 말하면 장관들도 모두 옳다고 하며 따라간다”며 “윤 대통령은 장관이 아닌 다방면의 학자들을 일주일에 한두 번씩 티타임 하면서 만나라”고 조언했다.

이번 책은 일간지에 쓴 칼럼을 모아 엮었다. 사랑·자유·평화에 대한 질문과 해답, 교육자로서 다가올 미래에 후손에게 전해 줘야 할 것들, 이념적 갈등으로 위태로운 한국인에게 건네는 일침 등이 담겼다.

김 명예교수는 104세의 나이에도 여전히 전국을 다니며 활동한다. 이와 관련해 그는 “가장 행복한 인생은 늙지 않고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건강 비결로 젊은 사람과의 만남을 꼽기도 했다. 김 명예교수는 “고인이 된 김동길 연세대 교수가 ‘장수클럽’을 만들고 나를 초대했다. 80세 넘은 교수들 모임이었는데 자꾸 나오라 하길래 나가 보니 전부 늙은이들만 있더라. 그걸 보고 ‘여기 있다간 나도 늙겠다’ 싶어 한 번 나가고는 나가지 않았다”고 웃었다. 그는 “100살이 넘은 나이지만 낼모레에도 강남 현대고 학생들에게 강의하러 간다. 그 애들하고 노는 게 즐겁다. 고등학생과도 대화하며 살아가니 젊게 산다”고 했다.

대학을 정년퇴임하고 나온 뒤 다른 일을 하니 새로운 인생이 시작됐다고 했다. 김 명예교수는 그러면서 “돌이켜 보니 인생에서 65~70세 때 가장 행복했다. 그때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늙는다는 건 몸이 늙는 게 아니라 성장이 끝나는 것”이라며 “성장이 멎으면 40대도 늙는다. 젊은 마음으로 일하는 사람이 되시라”고 조언했다.
김기중 기자
2024-05-10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