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을 위한 동물원 이야기] (15) 살모사는 무서운 뱀?

[어른들을 위한 동물원 이야기] (15) 살모사는 무서운 뱀?

입력 2011-08-06 00:00
수정 2011-08-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대 먼저 공격하지 않고 오히려 사람을 두려워해

대표적인 독사류 ‘살모사’는 한자로 ‘殺母蛇’라고 쓴다. 그래서인지 어미를 죽이는 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근거 없는 얘기다.
이미지 확대
살모사로서는 억울할 법한 이런 루머가 생긴 것은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인지 모른다. 살모사는 ‘난태생’(卵胎生)이다. 배 안에서 알을 낳고 부화시켜 대여섯 마리의 새끼 뱀으로 키운 후 세상에 내보내는 독특한 출산법이다. 작고 차가운 몸으로 알을 품을 수도 없고, 땅을 파거나 흙을 덮을 능력도 없으니 이런 방법을 택했을 것이다. 몸속에서 새끼를 키우다 보니 자식들이 태어날 때가 되면 어미는 상당히 수척해진다. 하지만 그것 때문에 어미가 죽지는 않는다.

●이름 때문에 어미 죽이는 뱀 오해

동물원에 있다 보면 해외토픽에 실릴 법한 희한한 사고나 해프닝을 접할 때가 있다. 산에서 일어난 살모사에 관한 일이다. 어떤 가족이 자동차로 산에 올랐다. 정상에 최대한 가까이 가려다가 차 바퀴가 살모사들의 터전을 침범했던 모양이다. 아이들이 뒷좌석에서 놀고 있는 사이 살모사가 차 바닥의 뚫린 곳을 통해 실내로 들어왔다. 기겁을 한 아이들이 밖에 있던 부모에게 달려갔고, 아버지는 작대기로 살모사를 차 안에서 몰아내려 했다. 하지만 살모사는 운전대 사이에 뚫린 빈틈으로 쏙 들어가 버렸다. 아무리 아래를 쳐다보고 기다려 봐도 살모사는 나오지 않았다. 그 후 어찌어찌 하여 차를 몰고 집으로 돌아왔다. 아마도 모든 빈틈을 막고서 공포 속에 운전을 했던 모양이다. 아버지는 아직 차 안에 있을 게 분명한 살모사를 몰아내기 위해 하루 종일 자동차 히터를 틀어 놓기도 하고 바닥에 밀가루를 뿌려 보기도 했다. 카센터에 가서 차를 거의 분해하다시피 뜯어 보기도 했다. 그러나 살모사의 흔적은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일은 싱겁게 해결됐다. 어느 날 집 앞에 살모사 한 마리가 능글맞게 똬리를 틀고 있는 게 아닌가. 분명 산에서 들어온 그 뱀이었을 것이다.

●독의 강도는 작은 쥐 겨우 죽일 정도

그런데 살모사가 정말 그렇게 공포에 떨 만큼 위험한가. 전문가들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고 말한다. 사실 뱀에 물려 죽는 사람은 거의 없다. 개인적으로는 한명도 못 봤다. 우리 동물원 파충류 사육사도 살모사에 물린 적이 있었지만 그 부위가 약간 짜릿하다 말았다. 전신 증상은 전혀 없었다.

살모사는 쥐를 잡아먹는 60㎝ 미만의 작은 뱀이다. 건드리지 않으면 절대로 먼저 공격하지 않는다. 사람을 매우 두려워한다. 독의 강도도 작은 쥐를 겨우 죽일 정도다. 맹독성 코브라도 사람을 무는 순간에 독을 분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뱀같이 극에너지 보존 시스템을 갖춘 동물들은 생존에 필요한 수준 이상의 것을 생산하거나 소비하지 않는다고 한다. 안분지족을 아는 군자의 풍모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글 사진 최종욱(광주 우치동물원 수의사) lovenet@hanmail.net

.............................................................................................................

서울신문은 [어른들을 위한 동물원 이야기]를 독자 여러분의 열띤 호응 속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우치동물원의 최종욱 수의사와 서울신문 유영규 기자가 함께 꾸미는 지면입니다.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동물들의 기쁨과 슬픔, 사랑과 미움, 은밀한 비밀 등 다채롭고 흥미있는 이야기들이 매주 1차례씩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지금까지 연재됐던 [어른들을 위한 동물원 이야기]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물원] (1) ‘누트’ 새끼 포기까?

[ 원] (2) 외로운 ‘블랙스완’ 역사 .

[어른들 동물원] (3) 동물들의 사랑 몸짓(상) 까?

[어른들 동물원] (4) 동물들의 사랑 몸짓(하) 기 2개로 5

[어른들 동물원] (5) 동물의 심리 이유

[어른들 동물원] (6) ‘고리롱’ 박제란(상) 해야 하나

[어른들 동물원] (7) 우리나라 최초 코끼 600 에서

[어른들 동물원] (8) ‘롱’ 란(하) 원, 따라 기로

[어른들 동물원] (9) 에서 하지

[어른들 동물원] (10) 동물들 하나? 1 새끼 어미

[어른들 동물원] (11) 취한 원숭이들 주로

[어른들 동물원] (12) 더위 절대강자 낙타의

[어른들 동물원] (13) 원숭이 치지 마라 뜨기

[어른들 동물원] (14) 불법포획 돌고래의 자도 는지 라요

2011-08-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