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노인이 남긴 단어 살펴보니
“밤새 통증에 시달린다. 의지할 건 전기 찜질기뿐인데 이젠 이놈마저도 효력이 없다. 더 견디기 어려울 것 같다. 슬퍼하지 말고 조용히 처리해 주길 바란다. 죽어도 돈이 문제다. 통장 잔액과 월세 보증금 200만원으로 간소히 장례는 치를 수 있을 거다. 거듭 생각해도 내 결단이 옳은 듯하다. 아비를 원망 마라.” (2013년 숨진 채 발견된 독거노인 A씨의 유서 중)
분석 결과 노인 유서 110건 속에 숨겨진 언어의 퍼즐은 ‘결핍과 상실’, ‘배려’, ´가족’ 등의 키워드로 귀결됐다. ‘나’(164회)라는 주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없다’(130회)였다. 유서에서 ‘없다’는 주로 자신이 삶을 지탱해 줄 주된 요소가 사라지거나 더 나아질 희망조차 없다고 느낄 때 쓰였다. ‘돈이 없다’, ‘갈 데가 없다’, ‘생활을 할 수가 없다’, ‘가치조차 없다’, ‘이 길을 택할 수 밖에 없다’, ‘내 주위에 아무도 없다’ 등으로 절망의 순간을 기록했다. 특히 ‘없다’는 ‘사람’(56회), ‘자식’(36회), ‘돈(32회)’ 등의 단어 등과 주로 연결되며 고립된 노인의 삶을 대변했다. 저서 ‘자살론’에서 “자살은 개인이 삶에서 의미와 정체성을 상실했을 때 발생한다”고 한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의 주장을 떠올리게 한다.

70세 노인 B씨 C씨의 유서에서도 이런 대목은 잘 녹아 있다.

서종한 연구원은 “유독 우리나라 노인은 자신을 스스로 ‘가족의 짐’이라 여겨 일종의 부채의식을 마음속에 품고 사는 경향이 짙다”라면서 “여기에 경제적 어려움, 심리적 무망감, 우울증 등이 보태져 스트레스가 증폭되면 자살 생각을 하거나 치명적 자해 행동을 벌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12-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