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까지 공동 286곳 찾아내 복구
탐사대·조사 장비 두 배 이상 늘려
올해 공동 조사 실적 9620㎞ 달해
서울시는 낡은 상하수관 주변과 지하철역 등 땅 꺼짐(싱크홀) 위험 구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올해 역시 위험 구간 1850㎞를 선정하고, 최대 4회까지 반복 조사하면서 땅속 빈 공간인 ‘공동’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다. 시는 지반침하와 공동 분포, 침수와 공사 이력, 지반과 지하시설물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싱크홀 위험 구간을 선정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위험 구간 등을 조사한 결과 공동 286개를 발견하기도 했다.
싱크홀 예방은 공동 탐지와 확인, 복구 등 3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우선 위험 구간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해 탐사 계획을 수립한 후 전문 인력이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 등을 사용해 공동 위치를 파악하고 즉각 복구한다.
시민 안전을 위해 시는 전담 인력과 장비를 확충해 전문성을 높였다. 공동 탐사를 전담하는 전문 인력 ‘땅 꺼짐 탐사대’를 기존 3명에서 6명으로, 차량형 GPR 장비와 같은 조사 장비도 3대에서 7대로 늘렸다.
그 결과 2020년 공동 조사 추진 실적이 2476㎞였던 서울시는 올해 9620㎞로 크게 늘었다. 국토안전관리원 2286㎞, 부산시 1413㎞와 비교했을 때도 월등히 높다.
시 관계자는 “싱크홀 위험 구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수치화하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개발한 뒤 이를 활용해 더욱 고도화된 지반침하 예방 활동에 나설 계획”이라며 “24시간 상시 조사 체계를 구축해 시민이 살기 좋은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2024-12-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