숱한 실패 이겨낸 ‘배그의 주인공’… 48쪽짜리 기획서로 경영진 설득[2024 재계 인맥 대탐구]

숱한 실패 이겨낸 ‘배그의 주인공’… 48쪽짜리 기획서로 경영진 설득[2024 재계 인맥 대탐구]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4-04-29 23:41
수정 2024-04-29 23: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크래프톤 새 역사 쓴 김창한

이미지 확대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크래프톤의 핵심인 ‘플레이어언노운즈 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의 성공 배경에는 17년간의 실패에도 새로운 게임 개발을 멈추지 않은 김창한(50) 크래프톤 대표의 끈기가 있다. 김 대표는 이른바 ‘배그의 아버지’로 불리는 아일랜드 출신 원작자 브랜던 그린(48)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로 영입해 개발기간 1년, 개발자금 40억원, 개발인력 30여명이란 제한된 조건 속에서도 배그 개발을 이끌어 ‘배그의 주인공’으로 불린다.

카이스트 전산학과 92학번인 김 대표는 카이스트 석·박사 과정을 밟던 중인 2000년부터 게임 스튜디오 이매직에서 개발, 기획, 기술팀장으로 일하며 개발 경력을 쌓았다. 이후 넥스트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테크니컬 디렉터, 지노게임즈 CTO 겸 개발 프로듀서로 일하며 3개의 게임을 출시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김 대표는 지노게임즈가 블루홀(현 크래프톤) 연합에 합류한 뒤 평소 좋아하던 배틀 로얄 장르의 새 프로젝트에 관한 48쪽짜리 기획서를 만들어 경영진을 설득해 배그 개발을 시작했다. 배그는 이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게임 순위 5위에 올랐다.

배그 성공으로 김 대표는 2019년 용산에 있는 고급 아파트 한남더힐을 매입할 수 있을 만큼 돈을 벌었다. 이후 이를 매각한 뒤 최근에는 청담동에 있는 고급 빌라 에테르노 청담을 분양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플레이어언노운’이란 닉네임으로 유명한 게임 디자이너 그린은 2013년 처음 배틀 로얄 장르를 선보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좁아지는 공간 속에서 50~100명 정도의 유저가 개인전 또는 팀을 이뤄 다른 팀을 무찌르면 승리하는 내용이다. 2016년 김창한 대표로부터 이전 작품을 기반으로 한 게임을 만들자는 제안을 받고 배그를 만들었다. 그린은 이를 두고 “내 비전의 최종 실현”이라고 말한 바 있다.

2024-04-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