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루트를 가다] <9>불모의 러시아 시장 진출…뚝심으로 성공 일구는 중소기업들

[유라시아 루트를 가다] <9>불모의 러시아 시장 진출…뚝심으로 성공 일구는 중소기업들

입력 2014-02-19 00:00
수정 2014-02-19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中企 여행·물류·농업서 두각… 기술·끈기로 동토의 땅 안착

“러시아는 인도, 중국 등 다른 국가보다 초기 진입 비용이나 시간이 3배 정도 더 든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착이 쉽지 않은 곳입니다.”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 관광사업을 하는 BK투어의 박대일 대표는 러시아 시장의 특성에 대해 묻자 이렇게 답했다. 실제로 현재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은 삼성, LG, 현대기아자동차, LS 등 대기업이 대부분이다. 다른 국가보다 초기 진입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역시 오래 걸리는 탓에 자본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살아남기 힘들다는 게 현지 진출한 업체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인근의 우수리스크에 1만㏊(3000만평) 규모의 아그로상생 농장이 드넓게 펼쳐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인근의 우수리스크에 1만㏊(3000만평) 규모의 아그로상생 농장이 드넓게 펼쳐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그러나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술력과 끈기, 뚝심으로 러시아 시장을 개척한 이들도 있다. 여행, 물류, 유통,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걷고 있는 이들은 하나같이 “정착과 개척이 어려운 만큼 도전 욕구가 샘솟는 곳”이라고 말했다.

바이칼호수, 한민족 시원이라 부르는 알혼섬 등과 인접해 있어 ‘시베리아의 파리’라 불리는 이르쿠츠크. 관광 도시로 유명한 곳이지만 여행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은 박대일 대표가 유일하다. 박 대표는 “2000년 초반 진출해 목재 등 여러 가지 사업에 손을 댔지만 쓴맛을 보고 지금은 이르쿠츠크에 정착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엔 서류 천국이라 불리는 러시아의 문화나 사람들의 특징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그저 내 일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면서 “그때 당시 서류 미비로 제품 수출이 제대로 안 되거나 운송 지연으로 계약 만료일을 지키지 못하는 등 몸으로 느끼면서 배운 것들이 지금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 정착이 힘겨웠던 것은 박 대표와 같은 개인 사업자뿐만 아니다. 러시아 내 동서식품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쓰리씨통상’의 최명흥 사무소장은 “영하 40도까지 떨어지는 날씨는 둘째 치고 현지 직원들과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문제였다”며 2년 전 처음으로 노보시비르스크에 정착한 기억을 떠올렸다. 최 소장은 “당시에는 혼자 현지 직원 3~4명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중압감에다 의사소통 문제, 문화적인 차이 등 여러 가지 고민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다”고 말했다.

초창기 어려움을 극복한 이들은 지금은 기회의 땅 러시아에 뿌리를 내리고 살고 있다. 박 대표는 최근 서울에도 사무실을 낼 정도로 사업의 규모를 키웠고, 쓰리씨통상 역시 동서식품 프리마의 대러시아 수출 선봉에 서 있다. 최 소장은 “옴스크, 예카테린부르크 등 시베리아 지역 곳곳으로 매달 한두 번 이상 출장을 다니고 있다”면서 “광활한 시베리아에 하나씩 하나씩 거래처가 늘 때마다 느끼는 보람은 말로 다 표현하기 힘들 정도”라고 전했다.

2002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 진출한 ‘아그로상생’ 역시 성공적으로 러시아에 진출한 중소기업으로 꼽힌다. 농업회사인 아그로상생은 우리 기술을 바탕으로 재배한 제품을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에 판매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인근의 우수리스크에 자리 잡고 있는 아그로상생의 농장은 1만㏊(3000만평)에 달하는 규모로 콩, 보리, 벼 등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소윤철 총괄담당은 “황무지나 다름없던 땅을 개간해 농장을 일구고 지금은 콩이나 보리 등 주요작물을 생산해 러시아에 바로 판매하고 있다”면서 “특히 최근 한국과 일본 음식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우리 기술을 바탕으로 재배한 차진 쌀의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앞으로 러시아와의 교류 확대를 위해서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기업의 진출 모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물류기업 에코비스의 김익성 러시아법인 부장은 “한국 내 러시아 전문가 양성과 러시아 내 민원영사 증설 등 네트워크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유통·물류망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국가 차원의 종합물류센터, 운송서비스 등을 도입도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금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장도 “식품, 전자기기 등 제품을 수출하려면 우선 ‘GOST’라 불리는 러시아 자체인증 제도를 통과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수출이 확정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 선뜻 인증비를 지불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런 부분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강화된다면 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보시비르스크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블라디보스토크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02-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