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라이프] ‘인스타’에 파랗고 어두운 사진 많다면…나도 우울증?

[핵잼 라이프] ‘인스타’에 파랗고 어두운 사진 많다면…나도 우울증?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입력 2017-08-11 17:22
수정 2017-08-12 0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NS 게시물로 알 수 있는 심리상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사진만으로도 사용자의 우울증 여부를 알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올린 왼쪽 사진에 비해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올린 오른쪽 사진은 청색감이 강하고 채도와 명도가 모두 낮다. 출처 버몬트대학 연구팀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올린 왼쪽 사진에 비해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올린 오른쪽 사진은 청색감이 강하고 채도와 명도가 모두 낮다.
출처 버몬트대학 연구팀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과 버몬트대학 공동연구팀은 SNS에 게시된 사진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우울증 여부를 70%의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SNS에 올린 사진에도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알 수 있는 ‘단서’가 남는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연구팀은 사진 공유 서비스로 인기가 높은 인스타그램과 사용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팀은 총 166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올린 총 4만 4000장의 사진을 분석했으며, 이 중 71명은 실제로 우울증을 앓았던 병력을 갖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이렇다.

먼저 우울증 증상을 보이는 사용자의 경우 인스타그램에 대체로 파랗고 어둡고 회색톤의 사진을 많이 올렸다. 또한 우울증 증상의 사용자들이 올린 사진에는 사람 얼굴이 포함된 것이 많았으며 필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도 특징이다. 인스타그램에는 사진 보정과 다양한 효과를 보여 주기 위한 필터가 있다.

연구팀은 인스타그램 사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여부의 정확도가 70%에 달하며 이는 가정주치의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입을 모았다.

연구를 이끈 앤드루 리스 박사는 “연구에 사용된 샘플수(피실험자)가 적은 편이지만 우울증과 건강한 사람이 SNS에 올린 게시물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면서 “의사를 찾아가 검진받기에 앞서 우울증의 전조를 SNS를 통해 미리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2017-08-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