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집중력 저하 주범은 과도한 업무… 아이 마음건강에도 영향” [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성인 집중력 저하 주범은 과도한 업무… 아이 마음건강에도 영향” [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4-03-04 18:32
수정 2024-03-05 2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덕현 중앙대 의대 교수

산만해져서 능력 줄어든 것 아냐
ADHD, 바른 진단이 치료의 시작
이미지 확대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국가별로 차이가 있지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유병률은 보통 5~8%다. 요즘 교사들은 “(20여명 안팎인) 학급마다 ADHD 아동이 1~2명이고 많은 반에는 3~4명씩 있다”고 하는데, 이는 유병률보다 다소 높은 정도다. 최근 부쩍 집중력이 망가졌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은 ADHD라는 질환이 잘 알려지면서 유사 증세를 모두 ADHD로 부르는 추세와도 무관하지 않다.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4일 이런 분위기에 경고를 보냈다. 한 교수는 “집중력이 떨어졌다고 무조건 ADHD는 아니다”라면서 “올바른 진단을 내리는 것이 치료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불안하고 우울하면 기본적으로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소아의 경우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발생하는 반응성 애착장애와 ADHD의 증상이 거의 똑같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상담교사나 교육복지사들이 ADHD 아동의 진단을 권하기 전 교사가 관찰한 내용을 듣고 부모 상담을 진행하는 이유는 아이의 마음속 진짜 문제에 최대한 가깝게 닿기 위해서다.

한 교수는 성인들의 집중력을 파괴시키는 주범으로 과도한 업무량을 꼽았다. 그는 “직장인들은 성과가 떨어지면 대부분 자신의 집중력 저하 탓이라고 생각하는데 업무 과다가 아닌지를 먼저 따져 봐야 한다”면서 “일에 과부하가 걸려 산만해졌다고 해서 자신의 절대적인 업무 능력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불안사회’를 살든 ‘과로사회’에 있든 집중력이 저하된 성인들은 아이 돌봄에 전념하기 어렵다. 집중력 저하가 화두가 된 사회는 아이 마음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ADHD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애착장애만 해도 부부 사이가 좋지 않거나 아이에 대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불규칙할 때 생긴다고 한 교수는 설명했다.

ADHD 질환을 지닌다는 것은 멀티태스킹(다중 작업)이나 공감각적 생각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한 교수는 “ADHD 치료는 맨발로 운동장을 뛰며 경쟁하는 아이에게 약이라는 운동화를 신겨 능력을 겨룰 기회를 주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ADHD에 조기 개입이 되지 않는다면 개인과 사회 양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ADHD가 방치되면 성인이 돼서도 낮아진 자존감 때문에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2024-03-0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