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환경 속에서 글로벌 사업 역량을 확대한 결과 지난해 매출 7조 468억원과 영업이익 5056억원의 경영성과를 달성했다. 올해는 솔루션과 서비스형 중심의 ICT 서비스에 집중함으로써 경영목표를 전년 대비 25% 매출 성장과 해외매출 비중 50% 달성으로 정하고 해외시장 확대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삼성SDS는 지난해 테헤란로 시대를 마감하고 잠실 시대를 시작했다. 사진은 잠실 신사옥. 삼성SDS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삼성SDS는 지난해 테헤란로 시대를 마감하고 잠실 시대를 시작했다. 사진은 잠실 신사옥. 삼성SDS 제공
이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의료, 교육, 보안 등 고부가 사업 확대 ▲경쟁력 있는 사업 생태계 구축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미래 신성장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를 위해 올 5월 8일엔 연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상장으로 삼성SDS는 글로벌 기술과 우수인력을 확보하고 해외에도 연구소를 설립해 기술 및 솔루션 R&D를 강화하며, 최첨단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확충함과 동시에 국내외 M&A 및 사업 제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6월 26~27일엔 삼성SDS 멀티캠퍼스에서 전동수 사장을 비롯해 사업부장, 3개 해외총괄, 해외법인장 및 영업팀장 등 200여명이 모여 하반기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었다. 지속 성장을 위한 해외사업 추진전략 등이 주요 안건으로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전 사장은 “위기와 기회가 상존하는 ICT 서비스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공격적으로 글로벌 사업을 펼쳐 기업 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7-18 4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