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동발전의 화두는 ‘경영정상화’다. 허엽 남동발전 사장은 틈만 나면 “숫자보다 실질적인 경영 정상화를 성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지출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발전적인 경영정상화를 이룰 수 없다는 말이다. “쉬운 길보다는 장래에 이길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을 구상하라”는 것이 허 사장의 주문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남동발전은 올 3월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비전을 구현하고자 ‘동반성장 로드맵’을 수립하고, ‘10대 중점추진과제’를 선정했다. 한국남동발전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남동발전은 올 3월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비전을 구현하고자 ‘동반성장 로드맵’을 수립하고, ‘10대 중점추진과제’를 선정했다. 한국남동발전 제공
이에 따라 임직원들은 시설 신뢰도를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 생산성 향상, 창조혁신 3.0, 혁신경영 그리고 동반성장이라는 경영 정상화 키워드를 뽑아냈다.
최근 가치창출 경영체계가 정착되면서 생산성 향상 효과가 두드러졌다. 전기 매출과 국내외 발전용역 사업 수익으로 2012년 233억원에서 2013년 395억원으로 162억원 증가했다. 또 2011년부터는 업무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시스템화 했다. 4년에 걸친 혁신 노력으로 2008년까지 적자기업이던 남동발전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연속 화력발전사 가운데 당기순이익 1위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우수중소기업을 발굴해 성공적으로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 지난달 29일 미국 LA에서 남동발전이 단독 개최한 ‘협력중소기업 북미시장 수출상담회’에서는 현지 파워바이어 39개사를 방문해 수출상담액 523만 달러와 144만 달러 계약추진을 일궈내는 성과를 거뒀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7-18 4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