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녀에 양육권을” 이집트법 바꾼 페미니스트 영부인 [김정화의 WWW]

“이혼녀에 양육권을” 이집트법 바꾼 페미니스트 영부인 [김정화의 WWW]

김정화 기자
입력 2021-07-17 11:00
수정 2021-07-17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 지한 사다트 이집트 전 영부인

1949년 안와르 사다트 전 이집트 대통령과 지한 사다트의 결혼 사진. AFP 연합뉴스
1949년 안와르 사다트 전 이집트 대통령과 지한 사다트의 결혼 사진. AFP 연합뉴스
지난 10일(현지시간), 이집트에선 여성이 처음으로 카이로 군 묘지인 무명용사 기념관에 묻혔다. 무덤의 주인공은 바로 안와르 사다트 전 이집트 대통령의 부인인 지한 사다트(87).

최근 몇 달간 병원에서 입원했다가 결국 세상을 뜬 사다트는 흔히 남편의 후광을 업은 영부인, 또는 젊은 나이에 암살로 남편을 잃은 과부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실 그는 보수적인 이집트는 물론 세계 무대에서 여성의 권리와 평화를 위해 싸워 온 헌신적인 운동가다. 국가 최고의 권력을 쥔 여성으로서 자신의 힘을 긍정적으로 행사했고, 이집트 여성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었다.
지난 9일(현지시간) 이집트 군인들이 지한 사다트 전 영부인의 시신을 군 묘지인 카이로 무명용사 기념관에 안장하고 있다. 이곳은 남편인 안와르 사다트 전 대통령이 묻힌 곳으로 여성 시신을 군 묘지에 묻는 것은 드문 일이다. 카이로 AFP 연합뉴스
지난 9일(현지시간) 이집트 군인들이 지한 사다트 전 영부인의 시신을 군 묘지인 카이로 무명용사 기념관에 안장하고 있다. 이곳은 남편인 안와르 사다트 전 대통령이 묻힌 곳으로 여성 시신을 군 묘지에 묻는 것은 드문 일이다. 카이로 AFP 연합뉴스
집안 반대 뚫고 결혼한 15살 차 남편, 대통령 됐다1933년 태어난 사다트는 어릴 때부터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컸다. 아버지가 이집트인, 어머니가 영국인인 집안에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는 자주 융합했다. 그는 기독교 전통인 크리스마스를 축하하는 한편, 매년 이슬람의 라마단 기간에는 단식을 꼬박꼬박 지켰다.

갖가지 다양함으로 빛나는 이 세상이 여성에겐 불공평하다는 걸 깨달은 건 학창 시절부터다. “여자애들은 대학에 가서 수학이나 과학을 공부하는 대신 바느질, 요리를 열심히 배워야지. 결혼에 대비해서 말이야.” 부모님의 말이었다.

2009년 3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이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싱크탱크 뉴아메리카재단(NAF)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2009년 3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이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싱크탱크 뉴아메리카재단(NAF)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어릴 때부터 배우는 걸 좋아했던 사다트는 이에 대해 훗날 자서전 ‘이집트의 여성’에서 “나는 평생 그 결정을 후회했다”고 밝혔다. “나는 내 딸들이 그런 식으로 미래의 문을 닫아버리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그가 남편인 안와르 사다트를 만난 건 15살 때다. 육군 장교 출신이었던 안와르는 당시 사다트보다 두배나 나이가 많았고, 이혼 전력이 있는 데다, 영국의 지배에 맞서 싸우던 ‘혁명가’였다. 둘의 만남에 당연히 주변의 만류가 이어졌지만, 결국 설득에 성공한 이들은 안와르의 사망 전까지 30년 이상 결혼 생활을 유지하며 4명의 자녀를 뒀다.

안와르 사다트 전 대통령은 잘 알려져 있듯 1977년 이스라엘을 방문해 중동 평화의 길을 열고 이듬해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1979년 아랍권 최초로 이스라엘과의 평화 조약인 ‘캠프데이비드 협정’에 서명하며 세계의 화약고로 불리는 중동의 평화를 위해 애썼다.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전 대통령의 부인 지한 사다트가 1981년 10월 기자의 자택 인근에서 투표하고 있다. 기자 AP 연합뉴스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전 대통령의 부인 지한 사다트가 1981년 10월 기자의 자택 인근에서 투표하고 있다. 기자 AP 연합뉴스
지한 사다트의 삶은 남편을 만나며 급속도로 바뀌었다. 안와르는 1952년 이집트 왕정을 무너뜨린 봉기에 참여한 뒤 1970년 대통령으로 집권을 시작했고, 사다트도 영부인이 됐다.

남편이 중동 평화에 앞장설 동안 사다트가 힘을 쏟은 건 ‘2등 시민’으로 억압받는 여성들의 삶을 바꾸는 거였다. 그는 이전까지의 영부인들과는 달랐다. 권좌에만 머무르지 않았고,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위해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특히 시골 여성들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일강 삼각주 인근 탈라 지역의 협동조합을 만든 것은 큰 업적으로 손꼽힌다.

여성이 남편에게서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한 이 프로젝트는 처음 폐건물에서 25대의 재봉틀로 시작했는데, 빠르게 발전하며 나중에는 100명이 넘는 여성들이 참여하게 됐다. 하루에 이들이 공장 노동자들을 위해 만든 옷만 4000벌이 넘었다. 카이로의 아메리칸대 교수 노하 바크르는 “사다트는 여성들의 작업물을 전시하고 팔면서 사업을 더욱 키웠다”며 “그는 여성이 경제적 통제권을 가지면 정치적으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걸 깨달은 것”이라고 했다.

“여성도 남성처럼 자유를” 관련법 개정 앞장
200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월넛크릭에서 연설하고 있는 지한 사다트. 위키피디아
200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월넛크릭에서 연설하고 있는 지한 사다트. 위키피디아
여성 인권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사다트가 이룬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히는 건 이집트의 법을 바꾼 것이다. 원래 이집트에선 이혼한 여성은 자녀에 대한 양육권을 가질 수 없었다. 하지만 사다트는 여성에게도 이 같은 권리를 부여하는 법을 개혁하기 위한 캠페인을 주도했고, 결국 변화를 이끌어냈다.

그는 국가의 법을 바꾸기 이전에 남편부터 설득해야 했다. 사다트는 자신의 책에서 당시 상황을 이렇게 밝힌다. “인구의 절반 이상이 여자야, 안와르. 여성이 남성처럼 자유로워지기 전까지 이집트는 민주주의 국가가 될 수 없어. 우리나라의 지도자로서 그 변화를 만드는 게 당신의 임무야.”

결국 보수적인 이슬람교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사다트 전 대통령은 1979년 여성의 이혼 관련 법을 개정했고, 의회에 여성을 위해 30석을 할당하는 법도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는 사다트의 공로를 높이 평가해 ‘지한의 법’으로도 불릴 정도다.
1981년 10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가운데)이 기자의 자택에서 미국의 지미 카터(왼쪽)·제럴드 포드(오른쪽) 전 대통령과 만나 얘기하고 있다. 기자 AP 연합뉴스
1981년 10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가운데)이 기자의 자택에서 미국의 지미 카터(왼쪽)·제럴드 포드(오른쪽) 전 대통령과 만나 얘기하고 있다. 기자 AP 연합뉴스
이후에도 사다트는 유엔 국제여성회의에 이집트 대표단으로 참가하고, 아랍·아프리카 여성연맹을 설립하는 등 여성 인권을 위해 끊임없이 목소리를 냈다. 198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행사 겸 방문했을 때는 여성의 노동도 남성만큼 중요하며, 동일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여권 신장에만 힘쓴 건 아니다. 참전용사 등을 위한 재활 센터인 ‘와파 왈 아말’을 세웠고, 이집트 혈액 은행을 만드는 데 기여했으며, 고아들을 위한 가정 제공 프로그램인 SOS 어린이 마을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이집트 외교관 부인 모임에서 사다트와 친분을 유지한 머바트 코족은 “사다트는 아랍 여성에 대한 세계의 시각을 바꿨고, 그의 업적은 미래의 영부인들이 정치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하는 토대가 됐다”고 평가했다.

자녀와 함께 대학생활…‘평화 전도사’로 세계 누벼
1992년 9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이 카이로 자택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1992년 9월 지한 사다트 전 이집트 영부인이 카이로 자택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사다트는 학문에도 엄청난 열정을 쏟았다. 학창 시절 제대로 끝마치지 못한 교육을 받기 위해 40이 넘은 나이에 카이로대에 진학했고, 세 자녀와 함께 대학을 다니며 아랍 문학을 공부했다. 말년엔 비교 문학으로 박사 학위까지 땄고 이집트와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그의 삶이 또 한번 바뀐 건 1981년 남편이 암살당하면서다. 세계적으로 환영받은 캠프데이비드 협정은 역사에 기록될 중요한 한 걸음이었지만, 아랍권에선 곧장 큰 반발이 이어졌다. 격렬한 시위가 이어졌고 결국 안와르는 군사 퍼레이드 관람 도중 이슬람 극단주의자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부부가 중동 평화 협정과 관련해 미국 카터 대통령 부부와 얘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전 대통령, 로절린 카터 영부인, 지한 사다트 영부인.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부부가 중동 평화 협정과 관련해 미국 카터 대통령 부부와 얘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전 대통령, 로절린 카터 영부인, 지한 사다트 영부인.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1981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군사 퍼레이드 도중 암살자들이 안와르 사다트 전 대통령 등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모습. 카이로 AFP 연합뉴스
1981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군사 퍼레이드 도중 암살자들이 안와르 사다트 전 대통령 등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모습. 카이로 AFP 연합뉴스
남편과 사별한 후에도 사다트는 그늘에 숨어있지 않았다. 그는 남편을 이은 ‘평화 전도사’로서 국제 무대에서 종횡무진 활약했다. 2009년 캠프데이비드 협정 30년을 맞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글에는 국제 정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평화에 대한 간절함이 묻어난다.

그는 “긴장이 역대 최고조에 달하고, 우리의 상황을 응시하는 새로운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며 “사람들이 평화를 원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라. 우리는 지도자들이 평화를 만들고 지키도록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30여년 전 남편은 평화를 자신의 정치적, 개인적 우선 순위로 삼기 위해 어렵지만 간단한 선택을 했다”며 “이에 나는 그를 잃을 것을 알면서도 100% 지지했다. 사다트는 우리에게 견뎌온 평화를 줬다”고 돌아봤다.

이 글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게 끝난다. “평화. 이 단어, 이 아이디어, 이 목표가 내 인생의 결정적인 주제다. 나는 항상 평화를 바라고 기도한다.”

◆지한 사다트는 누구·Jehan Sadat
1933 이집트 출생
1949 안와르 사다트와 결혼
1970~1981 이집트 영부인
1972 참전용사 등 재활 센터 ‘와파 왈 아말’ 창립
1975 유엔 국제여성회의 이집트 대표단
1977 카이로대 아랍문학 학사
1986 카이로대 비교문학 박사
1987 책 ‘이집트의 여인’(A Woman of Egypt) 출판
1993 미국 메릴랜드대 국제학 교수
2009 책 ‘평화를 위한 나의 희망’(My Hope for Peace) 출판
2021 사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