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야권 서울시장 시민후보인 박원순(얼굴) 전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는 최근 ‘희망 서울’ ‘혁신 서울’ ‘안심 서울’을 주제로 한 정책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책의 방향만 나왔을 뿐 세부적인 실천 계획 등은 제시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춘 정책위원회 등이 뒷받침하는 정당 후보들과 달리 시민후보는 시간·비용적인 측면에서 정책이 빈약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시간·비용 정당 후보에 밀려
박 전 이사 캠프 측은 2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정책자료집 등 세부적인 내용들은 야권통합 후보가 되면 제시하겠다.”면서 “신중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이르면 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6일쯤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뚜렷한 정책 메시지 없다” 비판
앞서 박 전 상임이사는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변화, 진정한 변화를 위한 박원순의 희망 약속”이라는 정책 공약을 공개했다. 박 전 상임이사는 “집으로 인해 겪는 고통을 끝내고 서울 시정을 혁신하며 모두가 안심하고 사는 서울을 만들겠다.”면서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이런 좌절을 끝내고 싶다.”고 밝혔다.
박 전 상임이사의 ‘희망캠프’ 정책자문위원은 집 걱정 없는 서울·착한 일자리 만들기·대학생 응원·영세상인 및 자영업자 생생(生生) 프로젝트 등을 ‘희망 서울’ 정책이라고 이름 붙여 구성, 공개했다. 또 ‘혁신 서울’에는 한강르네상스사업 전면 재검토, SH공사 사업구조 혁신, 독립된 검증 기관인 ‘서울시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투명한 정보 공개, 서울시 정보소통센터 설립 등을 담았다. ‘안심 서울’의 주요 정책으로는 아이들이 마음껏 다닐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아마존 프로젝트’, 서울 응급콜과 클리닉 네트워크 구축, 재해에 강한 서울, ‘미안(미리 안전)합니다’ 등이 있다. 그러나 다소 추상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어떻게 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없다.”면서 “현실성 있는 뚜렷한 정책 메시지를 신속히 만들어 시민들에게 알리고 후보 간 정책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내용이 보이지 않아 다른 정당 후보들보다 실속이 없거나 유약한 느낌을 준다.”고 지적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춘 정책위원회 등이 뒷받침하는 정당 후보들과 달리 시민후보는 시간·비용적인 측면에서 정책이 빈약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박 전 이사 캠프 측은 2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정책자료집 등 세부적인 내용들은 야권통합 후보가 되면 제시하겠다.”면서 “신중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이르면 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6일쯤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뚜렷한 정책 메시지 없다” 비판
앞서 박 전 상임이사는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변화, 진정한 변화를 위한 박원순의 희망 약속”이라는 정책 공약을 공개했다. 박 전 상임이사는 “집으로 인해 겪는 고통을 끝내고 서울 시정을 혁신하며 모두가 안심하고 사는 서울을 만들겠다.”면서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이런 좌절을 끝내고 싶다.”고 밝혔다.
박 전 상임이사의 ‘희망캠프’ 정책자문위원은 집 걱정 없는 서울·착한 일자리 만들기·대학생 응원·영세상인 및 자영업자 생생(生生) 프로젝트 등을 ‘희망 서울’ 정책이라고 이름 붙여 구성, 공개했다. 또 ‘혁신 서울’에는 한강르네상스사업 전면 재검토, SH공사 사업구조 혁신, 독립된 검증 기관인 ‘서울시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투명한 정보 공개, 서울시 정보소통센터 설립 등을 담았다. ‘안심 서울’의 주요 정책으로는 아이들이 마음껏 다닐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아마존 프로젝트’, 서울 응급콜과 클리닉 네트워크 구축, 재해에 강한 서울, ‘미안(미리 안전)합니다’ 등이 있다. 그러나 다소 추상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어떻게 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없다.”면서 “현실성 있는 뚜렷한 정책 메시지를 신속히 만들어 시민들에게 알리고 후보 간 정책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내용이 보이지 않아 다른 정당 후보들보다 실속이 없거나 유약한 느낌을 준다.”고 지적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1-10-0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