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는 18일 여야 열람위원들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한 것과 관련, “좀 더 지켜보자”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이번 사안이 정국에 미칠 파장을 가늠할 수 없는데다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아예 없는 것인지, 있는데 기술적 문제로 못 찾는 것인지조차 불분명한 상황에서 섣부른 입장을 냈다가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화록 증발 문제와 관련, “일단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봐야 알 수 있다”고만 말했다.
향후 대책 등 추가 질문에는 일절 답하지 않았다.
국가정보원 보관 ‘NLL(북방한계선) 대화록’ 공개에 앞장섰던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화록이 없는 것인지, 있는데 못 찾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어느 사람도 장담할 수 없다”면서 “국정원도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최고지도부 역시 이날 오전 충북 청원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대화록 증발’과 관련해선 아무런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강경파를 중심으로 노무현 정부 폐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 의원은 “대화록이 아예 없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고 말이 안 된다”면서 “만에 하나 노무현 정부에서 대화록을 폐기했다면 친노(친노무현) 전체가 역사 왜곡과 대화록 폐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민주당이 직전 이명박 정부를 의심하는 데 대해 “이명박 정부에서 그걸 폐기할 이유가 뭐가 있느냐”고 일축하면서 “오히려 의심받는 쪽은 노무현 정부 아니냐”고 반문했다.
연합뉴스
이번 사안이 정국에 미칠 파장을 가늠할 수 없는데다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아예 없는 것인지, 있는데 기술적 문제로 못 찾는 것인지조차 불분명한 상황에서 섣부른 입장을 냈다가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화록 증발 문제와 관련, “일단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봐야 알 수 있다”고만 말했다.
향후 대책 등 추가 질문에는 일절 답하지 않았다.
국가정보원 보관 ‘NLL(북방한계선) 대화록’ 공개에 앞장섰던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화록이 없는 것인지, 있는데 못 찾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어느 사람도 장담할 수 없다”면서 “국정원도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최고지도부 역시 이날 오전 충북 청원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대화록 증발’과 관련해선 아무런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강경파를 중심으로 노무현 정부 폐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 의원은 “대화록이 아예 없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고 말이 안 된다”면서 “만에 하나 노무현 정부에서 대화록을 폐기했다면 친노(친노무현) 전체가 역사 왜곡과 대화록 폐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민주당이 직전 이명박 정부를 의심하는 데 대해 “이명박 정부에서 그걸 폐기할 이유가 뭐가 있느냐”고 일축하면서 “오히려 의심받는 쪽은 노무현 정부 아니냐”고 반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