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사법부 부정”·“우상호 친북” 강경발언 계속
박정희 전 대통령에도 “공산주의자였다가 전향”“의원들도 신뢰도 낮지 않나” 태도 논란도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2일 방송문화진흥회 국정감사는 고영주 방문진 이사장이 강성 발언을 쏟아내고, 야당 의원들이 이념편향을 문제삼아 반발하며 파행을 거듭했다.
고 이사장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향해 사법부를 부정했다고 공격한 데 이어 야당 간사인 우상호 의원을 향해 친북행동을 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정희 대통령에 대해서도 “공산주의자였다가 전향했다”고 하는 등 민감한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회의는 시작부터 고 이사장이 문 대표에 대한 비판을 내놓으며 거센 공방을 이어갔다.
고 이사장은 “대법원이 좌경화됐다”고 한 자신의 발언을 야당 의원들이 비판하자 “문재인 제1야당 대표와 한명숙 전 의원은 대법원 판결을 받고 사법부 전체를 부정했다. 거기에 비하면 ‘사법부가 일부 좌경화됐다’는 제 말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상관없다”고 답변했다.
과거 문 대표를 겨냥해 “공산주의자”라고 발언한 부분도 도마 위에 올랐다.
고 이사장은 “(문 대표가 공산주의자라고 생각하는 근거가) 준비해 온 것만 해도 12페이지”라며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려 했고, 한미 연합사 해체에 관여했고, 연방제 통일을 지지하지 않았나”라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표가 부림사건의 변호를 맡았다는 점도 판단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자 야당 위원들은 “백보 양보해 친북성 사건의 성격이 있다고 해도, 그걸 변호했다고 공산주의자로 단정짓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급기야 야당 위원들이 퇴장해 국감은 30여 분간 파행했다.
오후 회의에서도 논란은 계속됐다.
이번에는 고 이사장이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편찬된 ‘친북반국가인명사전’에 야당 인사들이 포함된 것이 문제가 됐다.
새정치연합 홍의락 의원은 인명사전에 새정치연합 김근태 전 상임고문을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조국 서울대 교수, 우상호 이인영 오영식 의원 등의 이름이 실려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들도 친북행위자냐”고 추궁했다.
그러자 고 이사장은 “제 생각은 아니다. (그러나) 편찬위원의 생각을 믿는다”면서 “과거에 (친북) 행적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우 의원은 “친북인사로 낙인찍히는 모욕을 받으면서 회의에 임할 수 없다”고 했고, 전병헌 의원도 “위증죄와 국회모욕죄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새누리당 간사인 박민식 의원도 “우 의원은 품격있는 국회의원”이라며 “그가 친북용공이라면 대한민국 몇백만 국민이 모두 친북용공”이라고 지적했다.
논란이 계속되자 홍문종 위원장은 또 정회를 선포했고, 1시간 가량 지나 속개된 회의에서 고 이사장은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사과했다.
이후에도 우 의원이 “박정희 전 대통령도 여순사건에 참여했다가 처벌된 사실이 있다. 그도 공산주의자냐”고 묻자 “그렇다. 공산주의자지만 전향했다”고 답하는 등 민감한 발언을 이어갔다.
고 이사장의 답변태도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새정치연합 문병호 의원이 “MBC 신뢰도가 얼마나 하락한지 알고있나. 이사장직에서 사퇴하라”고 말하자, 고 이사장은 “신뢰도로 따지면 의원들도 높은 것은 아니지 않냐”고 맞받았다.
홍문종 위원장은 “아무리 그래도 국감장에 와서 의원들의 신뢰도가 낮다고 얘기를 하면 어떻게 하나”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