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 지역대표성보다 인구비례성이 중요”
김태현 중앙선거관리위원 후보자는 22일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의 18대 대통령선거 개표부정 의혹 제기에 대해 “대선 개표조작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새누리당 몫 비상임위원으로 추천된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이 대선 개표조작 의혹 제기에 대해 묻는 질문에 “(강 의원 주장은) 적절치 않은 지적이라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20대 총선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있어서 농어촌 지역대표성 문제가 논란이 되는 데 대해선 “제 개인적 생각은 지역대표성보다는 인구가치의 등가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헌재 결정이) 지역대표성에 문제가 된다는 내용은 알지만 헌재는 인구가치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채택해서 획정위에서 합리적 안을 만들어낼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획정위원이 ‘여야 4대 4 동수’로 구성돼 의결이 불가능한 구조라는 지적에 대해선 “좀 더 중립적인 인사의 위원들을 증가시켜야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획정위 구조가 되지 않겠느냐는 내용은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낮다는 지적에는 “여성 의원 비율이 좀 더 높아져야 한다”고 했고, 20대 국회에서 비례대표 숫자를 줄이면 여성의 국회 진출이 더 어려워질 것이란 지적에는 “그런 현실은 인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 후보자는 ‘5·16’에 대한 새정치연합 정청래 의원의 질의에는 “쿠데타라고 (서면질의에서) 답변했다”면서도 “근본적으로 군사쿠데타이지만 나중에 경제적 발전을 이룬 점을 참작해 혁명적 성격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밖에 도덕성 검증에 있어서 김 후보자는 변호사 시절 선거법 관련 변론을 많이 맡았다는 지적에 대해 “저희 법무법인에서 상당히 수임한 게 있으나, 제가 직접 관여한 것은 1~2건 외엔 없다”면서도 “선관위원으로서 중립성과 공정성에 오해받을 소지는 있다고 생각한다”고 인정했다.
그는 다운계약서 의혹에 대해서는 “쓴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고, 현직 퇴임 후 수임료를 많이 받았다는 ‘전관예우’ 의혹에 대해선 “변호사 생활을 하면서 전관예우를 받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야당에서 제기한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서도 “투기라고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당시는 등기명의신탁이 인정되던 시절이며 등기이전은 처가 필요에 의해 명의를 바꿔놓은 것이지 차명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