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원제 폐지, 찬반 팽팽…단체장들 “혁신안 폐기 안돼”
더불어민주당에서 문재인 전 대표 시절에 사무총장제와 최고위원제 폐지를 골자로 해서 마련됐던 혁신안의 존폐가 오는 9일 결정된다.더민주 관계자는 8일 “내일 오전 국회에서 의원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며 “혁신안을 계속 유지할지를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우선 혁신안에서 폐기키로 했던 사무총장직의 경우 예전처럼 사무총장직을 부활시키자는 의견이 당내에서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실무를 한 사람이 총괄했던 사무총장제와 비교해 혁신위가 내놓은 ‘5본부장제’는 권력의 쏠림현상을 막을 수 있지만, 그만큼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대선을 앞두고 일사불란하고 효율적인 당무처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 사무총장제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다만 혁신안에서 폐지를 결정했던 최고위원제는 존폐를 놓고 의견이 팽팽하게 갈린다.
일각에서는 혁신안대로 최고위원을 대체하기 위해 노인·청년·민생 등 부문별 대표위원을 뽑으려고 해도, 당장 선거인단 구성부터 쉽지 않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최고위원제 폐지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한 번도 혁신안을 적용하지 않은 채 폐기해서는 안된다는 반발도 만만치 않다.
더민주 기초단체장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혁신안의 취지는 민생복지정당으로 당의 정체성을 확립하자는 것이며, 풀뿌리 생활정치를 실현하는 분권형 정당의 면모를 분명히 하자는 것”이라며 혁신안 폐기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협의회는 “의총이나 일부의 논의만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해서는 안된다”며 “중앙위를 소집해 모든 것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처럼 갈등 조짐이 불거지자 일각에서는 현행 최고위원제를 유지하면서도 권역별 대표위원을 뽑아 일부를 대체하는 방식의 ‘절충안’도 거론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