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수석대표로 회의 참석 北 탈취 가상자산 대량살상무기 개발 방지 논의한미일 3국 정부는 4일 고위급 사이버안보 첫 회의를 개최하고 북한의 불법 가상자산 탈취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히로시마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히로시마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앤 뉴버거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사이버·신기술 담당 국가안보부보좌관, 마사타카 오카노 일본 국가안전보장국 차장이 첫 회의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고 수석대표로 각각 참석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불법 탈취한 가상자산을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자금으로 사용하는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한 대응방안을 한미일이 함께 모색했다”면서 “이를 위해 한미일 고위 협의체를 신설하고 3국 간 긴밀한 정보공유, 합동 보안권고문 발표 및 가상자산 세탁기술로 악용되는 믹서(mixer)에 대한 조치 등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조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3국은 또한 회의에서 ▲3자 회의체 사이버안보대화 채널 정례화 방안 ▲북한의 정보기술(IT) 외화벌이 인력 공동대응 ▲가상자산 전문업체와의 협업 등 주요 협력 현안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9월 초 후속회의를 통해 협의 내용을 구체화하기로 했으며,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사항은 오는 18일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의의 사이버안보 분야 의제와 연계될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향후 한미일이 정보동맹 수준의 협력을 본격화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고혜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