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 모든 분야서 파트너십 발전”
최선희 만나 답방 시기 논의할 듯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한은 우리의 이웃, 가장 가까운 이웃이며 모든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파트너”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과의 대화는 모든 수준에서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타스통신은 페스코프 대변인이 “푸틴의 방북은 가까운 시일 내 이뤄질 수 있고 날짜는 외교 경로를 통해 합의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날 모스크바를 방문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푸틴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최 외무상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은 16일로 예정돼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최 외무상의 러시아 방문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논의가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지난해 9월 김정은 국무위원장 방러의 답방 성격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당시 북러 정상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에게 방북을 제안한 바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이번 러시아 방문은 최 외무상이 외무상에 오른 뒤 첫 해외 방문으로, 푸틴의 방북은 양측의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며 “푸틴의 방북은 김 위원장이 외교적 고립에서 탈피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 주는 이벤트가 될 것이다. 북한 입장에서 푸틴의 방북은 김 위원장의 외교적 성취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러시아로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북한이 전략적으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고, 북한 역시 남북이 교전국 관계라고 선언하며 남북 관계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한미일 3국 결속에 맞서 본격화된 북러 간 밀착 행보는 최 외무상의 러시아 방문과 함께 새해에도 더욱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성사될 경우 북러 간 밀착을 상징하는 또 다른 이벤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대만 선거에서 ‘친미’ 민진당 정부가 재집권한 가운데 동북아에서의 ‘자유진영 대 전체주의 진영’ 간 대립 전선은 한층 더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북한으로서는 러시아와의 협력에 더욱 집중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이라는 외교적 난제를 풀지 못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양안 관계에서도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에 ‘눈길’을 보내기 어려운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무기 지원 등 북러 간 군사 밀착은 양측 최고 지도자 간의 만남을 통해 한층 더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북러 간 ‘브로맨스’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달려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단기적으로 끝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북러 관계는 올해도 순풍을 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4-01-1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