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감 표명’까지 신속 공개
북한 매체들이 25일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이 극적 합의를 이뤘다는 소식을 신속히 주민들에게 공개했다. 협의문 속 지뢰 도발에 대한 북한의 유감 표명도 여과 없이 전해졌다.조선중앙TV는 이날 “북과 남은 접촉에서 군사적 대결과 충돌을 막고 관계 발전을 도모하는 데 나서는 원칙적 문제들을 진지하게 협의하고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면서 여섯 개 항목으로 이뤄진 공동보도문 전문을 소개했다.
특히 북한 매체들은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 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는 공동보도문 2항의 내용도 가감 없이 전했다.
이에 앞서 조선중앙방송은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 타결 직후인 이날 오전 2시쯤 진행 중이던 음악 방송을 중단하고 “내외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22일 판문점에서 열린 북남 고위급 긴급 접촉이 24일에 끝났다”고 긴급 보도했다. 비슷한 시간 북한의 관영 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도 “쌍방은 접촉에서 최근 북남 사이에 고조된 첨예한 군사적 긴장 상태를 해소하고 북남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문제들을 협의했다”며 합의 내용을 공개했다.
북한 매체들은 서부전선에서 발생한 남북한 포격 사태 이후 북한 지도부의 대응과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까지 일련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보도해 왔다. 언론 통제가 철저한 북한 사회의 특성상 북한 매체들이 이번처럼 남북 접촉 상황을 신속하게 보도한 것은 이례적이다.
한편 이번 회담에 북측 수석대표로 참석했던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은 이날 조선중앙TV에 직접 출연해 “이번 북남 고위급 긴급 접촉을 통해 남조선 당국이 근거 없는 사건을 만들어 가지고 일방적인 판단과 행동으로 상대 측을 자극하는 행동을 벌이는 경우 정세만 긴장시키고 있어서는 안 될 군사적 충돌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심각한 교훈을 찾게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자신들이 준전시 상태를 해제한 것에 대해 내부에 궁색한 변명을 하고 또 선전용으로 이용하는 행위”라면서 “충분히 예상되고 공동보도문을 훼손하지 않은 이상 대응할 가치도 없다”고 설명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08-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