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내부 권력 변화
오는 25일로 1주년을 맞는 박근혜 정권의 권력 구도는 청와대와 당이 분점한 상태다.오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는다. 사진은 지난달 27일 열린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김기춘(왼쪽에서 두 번째) 비서실장과 수석들이 회의 준비를 하는 모습. 맨 왼쪽은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청와대는 지난해 8월 인사를 통해 2기 참모진이 발족된 이래 힘의 변화나 이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출범한 김기춘 비서실장 체제는 수석급에서는 김규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추가 합류한 것 외에 인사 이동이 없어 힘의 변화를 가져올 외부적 요인도 없었다. 임명과 함께 빠른 속도로 업무를 장악해 나가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신임을 확보, ‘공격형 왕실장’이라는 별명을 얻었던 김 실장은 한때 집안 사정으로 사퇴설이 거론되기도 했지만 박 대통령은 이를 일축함으로써 변함없는 신뢰를 내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김 실장이 업무를 손에서 놓아본 적이 없다”고들 전하고 있다. 이처럼 2기 청와대 체제가 고정되면서 “참모들의 위상도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위상 강화의 대표적인 사례는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다. 국가안보회의(NSC) 사무처가 부활하면서 안보정책 컨트롤 타워로서의 위치가 더욱 공고해졌고, 관련 인사나 정책에 대한 영향력도 더욱 커졌다는 게 중론이다. 업무의 연속성 등 특수한 조건을 감안할 때 ‘박근혜 정권 5년을 함께할 인물’ 1순위로 꼽히기도 한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여전히 박 대통령의 ‘복심’이다. 새해 들어 이어진 대변인의 장기 공백을 무리없이 메워 ‘역시 이정현’이라는 평가를 낳았다. 경제분야에서는 조원동 경제수석의 영역도 더욱 확대된 것으로 진단된다. “자발성과 적극성 측면에서는 따라올 사람이 없을 정도”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박준우 정무수석 등에 대해서도 “정권 초기를 지나면서 움직임이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뿐이지 대통령의 코드와 뜻에 부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일부 수석들에 대해서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청와대를 포함한 정권의 전반적인 권력 지형과 관련, 한 친박근혜계 핵심인사는 “분야마다 ‘실세’는 있을 수 있어도 ‘정권의 2인자’라는 말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이 현 정부의 권력 상황 전반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2-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