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결함이나 기능장애를 갖고 태어난 선천성 이상아 중 45%가 심혈관인 순환기계통 질병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생아 1만명당 300명이 선천성 이상아였으며, 만혼·만산으로 저체중 미숙아가 늘면서 선천성 이상아가 태어날 확률도 높아졌다.
보건복지가족부가 27일 발표한 선천성 이상아 조사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조사는 복지부가 지난해 3~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것으로 2005∼2006년 출생한 88만 3184명이 대상이다. 선천성 이상아에 대한 국내 첫 조사다. 선천성 이상은 태아 때 형성되는 형태적·기능적 결손 및 장애로 신체적 기형뿐 아니라 감각이상, 염색체 이상, 대사 이상, 신경발달학적 이상 등을 말한다.
선천적 이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순환기 계통이 45%로 가장 많았고, 근육골격 계통(18%), 소화기(11%), 비뇨기(9%)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중 2만 5976명이 선천성 이상 확진을 받아 우리나라의 선천성 이상 유병률은 출생아 1만명당 294.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6년 출생아 44만 8153명 가운데 선천성 이상 유병률은 314.7명이었으며, 사산까지 포함한 유병률은 320.6명에 달했다.
이와 함께 선천성 이상아가 태어날 확률은 산모의 연령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출생아의 경우 25세 미만의 산모가 선천성 이상아를 낳을 확률은 1만명당 228.3명으로 가장 낮았고, 35세 이상 산모는 339.3명으로 가장 높았다.
만산은 저체중아 출산과 직결됐다. 2005년 출생아의 경우 2.5㎏ 이하의 저체중 미숙아에게서 선천성 이상이 나타날 확률은 1만명당 928.1명으로, 정상 체중아 226.3명보다 4.1배나 높았다. 30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가 늘어나고 불임 등에 따른 체외수정 증가로 쌍둥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저체중 미숙아 발생률은 2000년 3.8%에서 2002년 4.0%, 2005년 4.3%, 2008년 4.9%로 높아지고 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보건복지가족부가 27일 발표한 선천성 이상아 조사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조사는 복지부가 지난해 3~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것으로 2005∼2006년 출생한 88만 3184명이 대상이다. 선천성 이상아에 대한 국내 첫 조사다. 선천성 이상은 태아 때 형성되는 형태적·기능적 결손 및 장애로 신체적 기형뿐 아니라 감각이상, 염색체 이상, 대사 이상, 신경발달학적 이상 등을 말한다.
선천적 이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순환기 계통이 45%로 가장 많았고, 근육골격 계통(18%), 소화기(11%), 비뇨기(9%)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중 2만 5976명이 선천성 이상 확진을 받아 우리나라의 선천성 이상 유병률은 출생아 1만명당 294.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6년 출생아 44만 8153명 가운데 선천성 이상 유병률은 314.7명이었으며, 사산까지 포함한 유병률은 320.6명에 달했다.
이와 함께 선천성 이상아가 태어날 확률은 산모의 연령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출생아의 경우 25세 미만의 산모가 선천성 이상아를 낳을 확률은 1만명당 228.3명으로 가장 낮았고, 35세 이상 산모는 339.3명으로 가장 높았다.
만산은 저체중아 출산과 직결됐다. 2005년 출생아의 경우 2.5㎏ 이하의 저체중 미숙아에게서 선천성 이상이 나타날 확률은 1만명당 928.1명으로, 정상 체중아 226.3명보다 4.1배나 높았다. 30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가 늘어나고 불임 등에 따른 체외수정 증가로 쌍둥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저체중 미숙아 발생률은 2000년 3.8%에서 2002년 4.0%, 2005년 4.3%, 2008년 4.9%로 높아지고 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1-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