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냈다” vs “못 받았다”… 합동조사단 팩스 송부여부 감사 착수
전력거래소가 지난 15일 전국 순환 단전 실시 전에 지식경제부에 단전 돌입을 알리는 내용을 ‘팩스’로 보냈지만 지경부가 묵살했다는 주장이 20일 제기됐다. 정전 사태 이후 전력거래소와 지경부가 ‘유선’ 보고를 받은 시점과 내용을 놓고 한 차례 맞선 데 이어 확실한 물증이 남는 팩스까지 등장해 지경부와 전력거래소의 진실 게임이 2라운드에 돌입했다. 정부합동점검단은 팩스 송부의 사실 여부를 가리기 위해 전날 전력거래소에 이어 이날 지경부 감사에 착수했다.
연합뉴스
20일 서울 서초동 한국전력공사 강남지점에 마련된 9·15 정전피해 신고센터에서 한 시민이 한전 관계자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하지만 지경부 관계자는 “팩스를 받은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전력거래소에서 지경부에 팩스를 보냈다고 하는데, 한전에는 보낸 적 없다.”며 “보낸 사람이 있으면 받은 사람도 당연히 있을 테지만, 보냈다는 것 자체가 거짓말이라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팩스 송부 여부는 바로 확인이 가능한 만큼 전력거래소의 팩스 보고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지경부의 그동안 해명이 거짓말이었을 가능성이 커지고, 반대일 경우 전력거래소가 타격을 입게 돼 사실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선 보고 시점과 그 내용은 정전 당일 ‘오후 2시 55분’과 ‘오후 3시’의 진실을 규명하는 게 핵심이다.
지경부의 ‘15일 시간대별 상황’에 따르면 오후 2시 30분 한전은 지경부에 “전력거래소의 요청을 수용해 자율 절전을 시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김도균 지경부 전력산업과장은 예비전력이 400만㎾ 수준인 상황에서 왜 자율절전에 들어갔는지 전종택 전력거래소 중앙급전소장에게 전화로 문의했다. 전 소장은 김 과장에게 전력 수급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고, 정전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전 소장도 이 부분은 인정했다.
하지만 그 이후 상황은 양측에서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지경부에 따르면 오후 2시 55분 전 소장이 김 과장에게 전화해 “상황이 호전돼 정전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보고했다. 오후 3시 8분에는 전 소장이 김 과장에게 전화했지만 김 과장이 자리를 비워 여직원에게 순환정전 돌입을 메시지로 남겼다. 전 소장은 “오후 2시 55분에 김 과장에게 전화로 상황이 나아졌다고 알렸다. (하지만) 5분 뒤인 오후 3시에 다시 상황이 급박하게 악화돼 김 과장에게 전화했지만 자리에 없어 여직원에게 (순환 정전) 조치에 들어가겠다는 내용의 메모를 남겼다.”고 반박했다.
한전 관계자는 “오후 2시 55분쯤 전력거래소에서 ‘전력 수급 상황이 좋지 않아 순환정전에 들어갈지 모르겠다. 3시 아니면 3시 10분에 할지 지켜봐야겠다.’는 통보를 전화로 받았다. 또 3시 11분 이후 전력거래소에서 정전 조치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전력 관계 기관인 지경부, 전력거래소, 한전의 입장을 보면 오후 2시 55분과 오후 3시의 보고 내용과 보고 여부가 진실을 가릴 핵심이다.
정부합동점검단은 이날 지경부 감사에 돌입, 전날 전력거래소 조사 때 제기된 팩스 보고 여부 등을 집중 조사했다. 합동점검단 관계자는 “양쪽 말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며 “사실 여부를 파악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총체적인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1-09-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