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해외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 15만여점을 환수·활용하기 위한 민간 전담기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올해 7월 중으로 설립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구는 민간 분야의 자율성을 극대화해 도난·불법 거래가 아닌 문화재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환수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현재 해외에 산재한 우리 문화재를 나라별로 보면 일본이 가장 많은 6만 6295건, 미국 4만 2293건, 독일 1만 792건, 중국 8225건 순으로 통틀어 15만점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국외문화재 목록조사 결과 확인된 수치로 전년도 14만 560점보다 8000여점 늘어났다. 주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그리고 문화재의 해외반출을 금한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1962년 이전에 빠져나간 유물이다. 러시아는 4172점, 덴마크도 1278점의 우리 문화재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해외에 있는 문화재 중 환수·반환을 요구하기 어려운 사례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국내에 열몇 점밖에 없는 고려 불화는 대체로 숭유억불 정책을 쓴 조선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 많아 불법유출에 따른 환수대상이라고 보기 어렵다.
최근 세계적인 흐름은 각국들이 우호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대표적인 문화재 등을 돌려주고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현재 해외에 산재한 우리 문화재를 나라별로 보면 일본이 가장 많은 6만 6295건, 미국 4만 2293건, 독일 1만 792건, 중국 8225건 순으로 통틀어 15만점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국외문화재 목록조사 결과 확인된 수치로 전년도 14만 560점보다 8000여점 늘어났다. 주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그리고 문화재의 해외반출을 금한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1962년 이전에 빠져나간 유물이다. 러시아는 4172점, 덴마크도 1278점의 우리 문화재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해외에 있는 문화재 중 환수·반환을 요구하기 어려운 사례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국내에 열몇 점밖에 없는 고려 불화는 대체로 숭유억불 정책을 쓴 조선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 많아 불법유출에 따른 환수대상이라고 보기 어렵다.
최근 세계적인 흐름은 각국들이 우호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대표적인 문화재 등을 돌려주고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5-2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