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여성안전종합대책 마련…취약지역 100곳 특별관리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성 대상 범죄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 두 번째 현장시장실을 꾸려 ‘여성 안전’ 대책을 종합적으로 챙긴다.박 시장은 지난해 11월 분양 실적이 미진한 은평뉴타운에 첫 번째 현장시장실을 만들어 1주일간 머물며 미분양 아파트 615가구를 모두 해소한 바 있다.
24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다음달 중 여성안전종합대책을 완성하고 박 시장은 시내 여성안전취약지역에 설치된 현장시장실에 머물며 대책 추진을 진두지휘할 계획이다.
현재 현장시장실 운영 장소로 물망에 오르는 곳은 1인 가구만 5천200여 가구가 밀집한 구로구 구로3동과 여성 대상 범죄비율이 시내에서 가장 높은 관악구 신림동이다.
구로3동은 자영업 종사자와 인근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미혼 여성이 많고, 구로경찰서 관할지역의 여성 범죄를 포함한 범죄 발생률이 시내 31개 경찰서 중 5번째로 높은 곳이어서 대상지로 추천됐다.
신림동은 강남 등 다른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미혼 여성이 많고 유흥·숙박업소와 대형쇼핑몰이 밀집해 지난해에만 살인미수,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746건의 범죄가 발생해 우선순위에 꼽혔다.
시는 이들 지역 중 한 곳에 현장시장실을 운영하며 현장 실태조사를 하면서 여성안전종합대책을 실천할 계획이다.
여성안전종합대책에는 마포구 염리동 등에 시범 도입했던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적용 지역 확대, 골목길 조명 개선, 공원 폐쇄회로(CC)TV 설치, 위기상황 대처법 등을 교육하는 ‘여성폭력 제로 아카데미’ 운영 등의 사업이 포함된다.
아울러 여성 1인가구 등 취약지역에 홈방범(3천가구) 및 무인택배(50곳) 시스템을 설치하고, 택시 탑승·하차지점을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택시안심귀가’ 시스템도 확대한다.
시는 또 경찰과 취약지역 100곳을 선정해 4월부터 합동 순찰을 강화한다. 지역전문가 등과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 10곳을 지정하고 마을별로 ‘여성안전지킴이’ 총 50명을 선발해 안전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외에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통한 시민 참여로 ‘여성안전 BI(브랜드 이미지 통합)’와 ‘안전수칙 십계명’을 개발하는 등 시민 공감대 확산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시는 현장시장실을 운영한 후 범죄 감소 효과 등을 6개월간 분석해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