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 변호인 포스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상언 변호사가 영화 ‘변호인’을 관람한 뒤 짤막한 소감을 남겼다. 곽상언 변호사는 지난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영화를 봤다. 아내가 옆에서 서럽게 운다. 나도 누군가의 변호인이 돼야겠다”고 썼다. 또 “어르신, 처음 전화를 하셨다. ‘잘 견뎌주게. 우리 딸 부탁하네. 고맙네’ 이것이 마지막 대화가 됐다”며 장인과의 마지막 통화 내용도 올렸다. 곽상언 변호사는 노 전 대통령의 장녀인 정연씨와 2004년 결혼했다.
영화 ‘변호인’은 실제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허구라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1981년 군사 정권의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부산 학림사건)’을 바탕으로 인권변호사로 변해가는 변호사 송우석(송강호)의 이야기를 다뤘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젊은 시절이 부산상고, 세무 전문 변호사, 요트, 인권 변호사로 바뀌는 과정 등 곳곳에서 묻어나고 있다.
대사 속에서 관객들은 송우석의 변신을 찾는다. 단골식당 아주머니(김영애)의 대학생 아들 진우(임시완)에게 송우석은 “데모해서 바뀔 세상이면 내가 12번도 더 데모했다. 세상이 그리 말랑말랑한 게 아니다. 계란 갖다 바위에 암만 던져봐라. 바위가 깨지나”라고 말한다. 진우는 “바위는 아무리 단단하나 죽은 것이고, 계란은 아무리 약하다해도 살아 있는 겁니다. 그렇게 단단한 바위는 바람에 모래가 되고 부서지지만 계란은 깨어나 그 바위를 넘는다는 말도 못 들어보셨습니까?”고 대꾸한다. 스스로 속물 변호사를 자칭하는 송우석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송우석은 국가보안법 관련 재판의 변호인으로 자청하며 “이라믄 안되는 거잖아요? 이런 게 어딨어요?”라고 내뱉는다. 재판에서는 자신의 ‘애국’을 정의하는 차동영 경감에게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곧 국민이다”라며 절규하듯 몰아붙인다.
2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변호인’은 전날 전국 878개의 상영관에서 27만 5511명의 관객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지난 18일 전야 개봉 이후 누적 관객 수는 202만 7485명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