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다른 나라 10% 내외
한국이 노년기 경제생활에 대한 개인 책임 의식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사회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전 세계 21개국 2만 2425명을 설문조사해 1일(현지시간)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노년기의 생활수준을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50%를 넘겨 53%를 기록했다.미국과 영국, 독일을 빼고 러시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이집트, 케냐, 스페인 등 나머지 국가들에서는 대체로 정부에 책임이 있다는 인식이 강했고, 개인에 책임을 돌리는 응답은 대개 10% 내외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정부, 가족, 개인 순으로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나왔지만 한국에서는 개인에 이어 정부(33%), 가족(10%) 책임이라는 응답 비율을 보였다.
고령화에 대한 염려도 상당했다. 자국에서 고령화가 문제 되고 있느냐는 물음에 일본 응답자의 87%가 ‘그렇다’고 답해 1위에 올랐고 한국은 79%로 2위였다. 이어 중국이 67%로 3위를 기록했다. 노년기에 만족할 만한 생활수준을 누릴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한국은 43%가 긍정적으로 답해 21개국 중 11위로 중간에 머물렀다. 그러나 ‘매우 그렇다’는 답만 놓고 보면 7%에 불과해 하위권이었다. 중국은 79%가 긍정적으로 답해 1위에 올랐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02-0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