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중립성과 참여’ 강연
“차라리 그 시간에 학교에서 더 열심히 연구하는 쪽이 낫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최장집 교수
최 교수는 이날 서울 종로구 안국동 안국빌딩 W스테이지에서 열린 ‘문화의 안과 밖’ 세 번째 강연에서 ‘학문의 중립성과 참여’를 주제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학자들은) 학문적 탐구에 전념하면서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나도) 개인적 인간관계나 정치적 문제 등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었지만 돌아보면 거기에서 내가 한 역할이란 크지 않다. 별로 남는 게 없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김대중 정부 시절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지난해에는 안철수 의원의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 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그는 “정치와 사회에 대한 관찰자이자 심판관이 지식인의 적절한 역할이자 위상”이라며 “민주화 이후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 현실의 정당정치 과정, 그와 연결된 사회운동 등 3개 영역에서 학자들의 역할과 영향력이 크게 확대된 만큼 학자들의 정치 참여는 책임을 수반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자들이 현실정치,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 등 공적 영역에서 하는 행위는 사회적으로 매우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정당정치가 분단체제하에서 이념적으로 양극화됐고, 선거에서 이긴 정당이 정부를 관리·운영할 권한을 위임받는 현실에선 학자들의 현실 참여가 정치권력과 이념으로 양극화된 어느 한 쪽에 편입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학자가 꼭 현실 참여를 통해서만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면서도 공익에 얼마든지 이바지할 수 있다”며 “정치인과 마찬가지로 학자들도 자신의 사익을 위해 진실을 왜곡하거나 깊이 탐구하지 않는 등 소명의식과 책임윤리를 결여한 채 가치와 신념을 추구하는 것이 얼마나 공익에 해가 되는지 인식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