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현황 동영상’이라는 문구를 이용한 신종 ‘스미싱’(문자 결제 사기)이 등장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7일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스미싱 문자가 발송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문자에는 통신사인 연합뉴스의 이름 및 ‘여객선(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현황 동영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인터넷주소(URL)가 적혀 있다.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기기 정보, 문자, 통화 기록 등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스마트폰에 설치돼 있는 기존의 뱅킹앱(전자금융 프로그램)을 가짜 뱅킹앱으로 교체 설치하도록 유도해 사용자의 금융 정보가 빠져나갈 위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와 KISA는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의심스러운 문자는 즉시 삭제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전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7일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스미싱 문자가 발송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문자에는 통신사인 연합뉴스의 이름 및 ‘여객선(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현황 동영상’이라는 문구와 함께 인터넷주소(URL)가 적혀 있다.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기기 정보, 문자, 통화 기록 등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스마트폰에 설치돼 있는 기존의 뱅킹앱(전자금융 프로그램)을 가짜 뱅킹앱으로 교체 설치하도록 유도해 사용자의 금융 정보가 빠져나갈 위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와 KISA는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의심스러운 문자는 즉시 삭제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전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4-1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