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대학 음대생들 졸업연주 앨범 못받고 발동동

11개 대학 음대생들 졸업연주 앨범 못받고 발동동

입력 2014-05-11 00:00
수정 2014-05-11 1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양대·이화여대 등 353명 피해 호소…경찰, 제작업자 수사

서울시내 음대생 수백 명이 소중한 추억이 담긴 졸업 연주회 앨범을 졸업한 지 3개월이 지나도록 받지 못해 피해 사실을 신고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 성동경찰서는 한양대, 이화여대 등 음대생 300여명으로부터 졸업 연주회 앨범 제작 계약금으로 수천만원을 받고도 계약을 지키지 않은 혐의(사기)로 강남구 모 스튜디오 대표 A씨를 수사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경찰 등에 따르면 A씨는 이화여대 관현악과 등 서울시내 11개 대학 음대생 353명으로부터 2월 졸업식 당일까지 졸업 연주회 사진과 앨범 등을 건네주기로 하고 총 7천여만원의 계약금을 받았지만, 이달까지도 앨범을 넘기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연주회 동영상·사진·브로마이드, 이를 모은 앨범 등을 패키지 상품으로 내놓고 학생들로부터 20만∼30만원씩 계약금으로 받았다.

이화여대 학생들은 대부분 졸업식이 열린 2월 24일까지 앨범은 물론 액자, 브로마이드 등도 받지 못했다.

일부 학생들은 앨범을 받기는 했지만 미숙한 보정작업 때문에 배경이 휘어지고 사진 구도가 잘못돼 바닥의 쓰레기가 그대로 나오는 등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공연 포스터의 연주자 전공은 첼로가 더블베이스로, 트롬본은 트럼펫으로, 비올라는 바이올린 등으로 잘못 표기되기도 했다.

A씨는 사진 촬영 과정에서도 계약 내용을 지키지 않았다고 학생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계약서의 촬영 인원은 최소 3명이었지만 졸업 연주회가 있었던 지난해 11월 11일과 13일 촬영에서 2명의 작가만 촬영에 참여했다고 학생들은 주장했다.

다른 대학 졸업생들도 이대생들과 비슷한 일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학생들은 A씨에게 전화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계약 내용을 지켜달라고 요구했지만 A씨는 이를 일방적으로 무시하고 연락을 두절한 상태라고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 학생 수가 많고 여러 대학에 걸쳐 다양하다”라며 “평생에 한 번 있는 졸업 연주회 촬영을 계약대로 이행하지 않은 채 납품도 제대로 하지 않은 점 등으로 사기 혐의를 적용해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청년 정치참여의 마중물 되다···청년정치학교 모의행정사무감사 주최

서울시의회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청년 정치참여의 마중물이 됐다. 지난 23일 서울시의회 제1대회의실에서 열린 ‘제9기 청년정치학교 모의행정사무감사’가 청년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 성공적으로 끝났다. 해당 감사는 이 의원 주최, 사단법인 청정 주관으로 개최됐다. 청년정치학교는 커리큘럼의 마지막 교과과정으로 모의 국정감사·행정감사를 실시해 청년들이 실제와 유사한 정치활동을 체험하고 있다. 올해까지 3년 연속으로 서울시의회에서 모의행정사무감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졸업을 앞둔 학생들이 진지하게 감사에 참여함으로써 각자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는 자리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모의행정사무감사는 문화정책 및 예술, 저작권, 미디어, 체육, 관광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모델로 진행됐다. 해당 감사는 약 20여명의 청년정치학교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정책 및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질의와 답변이 오고 갔다. 위원장 역할을 맡은 이효원 의원은 “여·야당 위원들의 질의 내용과 집행부 답변을 통해 올해도 본 감사를 위해 준비를 많이 한 것이 느껴졌다”면서 “실제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며 심도있게 들여다보았던 서울청년문화패스와 관
thumbnail - 이효원 서울시의원, 청년 정치참여의 마중물 되다···청년정치학교 모의행정사무감사 주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