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원주대 변희국 교수팀 신소재 개발
홍어 껍질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소재가 나왔다.해양수산부는 해양바이오 지역 특화 선도 기술 개발사업에 참여하는 강릉원주대 해양생물연구교육센터 변희국 교수팀이 이런 성과를 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시중에서 파는 치매 질환 관련 약물은 20여종으로 치매가 발병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소재는 없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인 ‘PEFL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고 독성으로부터 뇌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소재를 치매 원인물질이 유도된 실험용 쥐에 투여해 실험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이 50% 억제되고 대조군보다 뇌 세포 생성률이 56% 높았다. 또 치매 예방 소재를 투여한 쥐에 인지기능 저해 물질을 투입한 실험에서도 대조군보다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두드러졌다.
이 소재는 가공 과정에서 대부분 버려지는 홍어 껍질에서 발견한 것으로 기존 치매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간독성, 구토, 위장장애 같은 부작용 우려가 없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10-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