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덮친 혹한에 전국 비상
북극 한파로 폭설과 강풍이 한반도를 강타해 하늘길과 바닷길이 끊긴 주말에 제주도 관광객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놀러왔다가 웬 날벼락 24일 한파·대설·강풍특보로 제주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된 가운데 숙소를 잡지 못한 관광객들이 바닥과 카트 등에서 쪽잠을 자고 있다. 한라일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24/SSI_20160124214139_O2.jpg)
한라일보 제공
![놀러왔다가 웬 날벼락 24일 한파·대설·강풍특보로 제주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된 가운데 숙소를 잡지 못한 관광객들이 바닥과 카트 등에서 쪽잠을 자고 있다. 한라일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24/SSI_20160124214139.jpg)
놀러왔다가 웬 날벼락 24일 한파·대설·강풍특보로 제주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된 가운데 숙소를 잡지 못한 관광객들이 바닥과 카트 등에서 쪽잠을 자고 있다.
한라일보 제공
한라일보 제공
![한강 가운데까지 ‘꽁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24/SSI_20160124170640_O2.jpg)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한강 가운데까지 ‘꽁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24/SSI_20160124170640.jpg)
한강 가운데까지 ‘꽁꽁’
기록적인 강추위가 전국을 강타한 24일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여의도 일대의 전경. 한강이 중심부까지 꽁꽁 얼어붙어 있다. 이날 서울의 아침 기온은 영하 18도로 2001년 이후 15년 만에 최저 기록을 갈아 치웠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숙소를 잡지 못한 관광객 1000여명은 1만원에 산 박스를 깔고 앉아 항공권을 기다리거나 찜질방으로 발길을 돌렸다. 서울에서 온 김모(36)씨 일행은 “어제 한라산을 오르려다가 입산이 통제돼 등산도 못 하고, 폭설로 고립됐다가 어렵게 공항에 왔더니 결항”이라며 하늘을 원망했다.
제주공항에서는 관광객이 진을 치면서 식당가는 물론 주변 편의점의 신선식품과 과자가 바닥났다.
관광객을 무료로 재워 주겠다는 따뜻한 온정도 이어졌다. 24일 오후 제주 최대 커뮤니티인 ‘제주맘카페’에는 ‘오늘 하루 무료 숙박을 제공한다’는 글이 50여개나 올라왔다. 이들은 어린아이나 노인을 동반한 가족에게 우선적으로 무료 숙박은 물론 식사까지 제공한다며 동네 위치와 전화번호를 공개했다. 제주도는 공항 체류객들을 위해 숙소 안내를 도와주고 모포와 컵라면, 초코파이 등을 제공했다.
시민들은 불편을 겪고 있지만 보상받을 길은 거의 없다. 폭설과 강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결항에 대해서는 항공사가 숙박시설 등의 편의를 제공하거나 금전적 배상을 할 의무가 없어서다. 관광객들은 “최소한의 편의 제공은 항공사 측에서 해 줘야 하는데도 나 몰라라 한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는 발이 묶인 관광객들에게 버스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 울릉도는 높은 파도로 여객선이 일주일째 결항돼 채소와 과일 등 신선식품이 거의 동났다. 울릉군 관계자는 “식당마다 부식이 없어 국과 밥, 김치 등이 전부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배편이 끊기면서 육지로 나온 울릉군민 1000여명은 포항 등에서 여관 생활을 하고 있다.
서울 용산역에선 24일 오전 10시 37분 용산역을 출발해 목포역으로 향할 예정이던 20량짜리 KTX 513 열차의 문짝이 얼어붙어 닫히지 않아 열차 출발이 9분 지연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항공사들은 25일 저녁 제주공항이 다시 가동되면 정기편과 임시편을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제주공항의 이·착륙 항공기 수가 제한적이어서 대기 중인 관광객을 모두 실어나르는 데는 2~3일가량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번 한파와 폭설로 제주와 경기 일부 초등학교는 개학을 연기하거나 등교 시간을 늦췄다.
북극 한파가 매서웠지만 대입을 향한 열기는 뜨거웠다. 23일과 24일 대입 실기 고사를 치른 충남 아산의 순천향대는 충청 지역의 대설특보로 차질을 우려했지만 결시자는 예년과 비슷했다. 윤장혁 순천향대 입학팀장은 “결시율이 10% 안팎이었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서울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1-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