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성추문 곤욕 치른 충북도교육청, 공직기강 확립 방안 추진
소속 교원들의 잇단 성추문으로 곤욕을 치른 충북도교육청이 성범죄 근절 등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채찍을 든다.3일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성범죄, 음주운전, 금품수수 사건의 경우 무관용 원칙을 적용, 일벌백계하기로 했다.
학내에서 성범죄가 발생하면 가해자는 물론 사건을 축소·은폐하거나 지연 신고하는 관리자도 예외없이 엄벌하기로 했다.
교내에서 성범죄가 발생하면 인지한 즉시 교육지원청 등 상급기관에 보고하고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도교육청은 과도한 음주가 불미스러운 사건의 원인으로 작용한 경우가 많은 점에 주목, 각급 학교나 산하 기관의 회식 후 성문제, 음주운전이 발생하면 동석했던 관리자에게 연대 책임을 묻기로 했다.문제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는 특별감찰도 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음주 중심의 그릇된 회식 문화나 학교 현장의 권위주의적 조직 문화도 바꿔 나가기로 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내 성범죄의 경우 가해자 처벌, 피해자 보호는 물 관리자에 대해서도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 공직기강 확립 방안의 주요 내용”이라며 “권위주의적인 조직 문화를 쇄신해 나가는 것도 과제”라고 말했다.
최근 도내에서는 교원들의 성범죄가 잇따라 발생했다.
남자 초등학교 교사가 두 차례에 걸쳐 회식 자리에서 동료 여교사 4명을 성추행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고, 중학교 교장이 학교에서 교무실무사를 성추행했다는 의혹도 제기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또 50대 남자 교사가 술에 취해 교실에서 여학생을 성희롱한 사건이 불거져 직위해제 됐다. 한 초등학교 특수교사는 임용 전인 2014년 연루된 성범죄로 뒤늦게 구속됐다.
김 교육감은 “입에 올리기조차 부끄러운 일이 여러 건 발생해 정말 민망하고 개탄스럽다”며 엄정한 자기관리를 주문하기도 했다.
도교육청은 성범죄에 즉각 대처하기 위해 민원감찰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