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국회의원 당선인·시·교육청 10일 기념곡 지정 촉구 담화문 발표국회 촉구에도 머뭇거리는 보훈처, 화답할지 미지수
제36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열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올해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이 마음껏 불릴지 관심이 쏠린다.지역 정·관계, 시민·사회는 한목소리로 님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 기념식 제창을 요구하고 있지만 국가보훈처가 화답할지는 미지수다.
8일 지역 정·관계에 따르면 국민의당 당선인들은 님을 위한 행진곡 등과 관련한 5·18 현안 논의를 위해 국무총리 면담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과 더민주 호남 다수 의원은 기념곡 지정을 재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지만 오는 18일 이전 처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장병완 의원은 다음 본회의가 19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해 18일 이전 결의안 처리를 위한 ‘원포인트 본회의’를 제안하기도 했으나 실현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설사 결의안이 통과된다 해도 보훈처가 태도를 바꿀지 불투명하다.
보훈처는 2013년 국회에서 기념곡 지정 촉구를 결의했지만 국민통합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등 이유로 후속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
지역 사회의 요구는 크다. 광주 8개 선거구를 휩쓴 국민의당 당선인과 광주시, 시의회, 시교육청 등은 제36주년 5·18 기념행사위원회와 함께 오는 10일 이와 관련한 담화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님을 위한 행진곡의 기념곡 지정과 기념식 제창, 역사교과서 등 교육현장에서 5·18 왜곡 등에 대한 대책을 촉구할 방침이다.
한편 광복회 등 10여개 보훈단체들로 구성된 중앙보훈단체안보협의회는 지난 4일 “(5·18 기념곡 지정을) 강행한다면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해 적극 저지할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담은 자료를 내고 새누리당, 더민주, 국민의당에 전달했다.
님을 위한 행진곡은 5·18이 정부 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부터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까지 공식 기념식에서 참석자 전원이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불렸다.
하지만 2009년부터 제창 대신 공연단의 합창으로 바뀌었으며 이후 공식 식순에서도 빠져 식전공연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5·18 단체와 시민사회가 제창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데 반발해 불참하면서 기념식은 최근 3년간 ‘반쪽행사’로 전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