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이 어머니가 유산으로 남긴 1억원을 어머니 모교에 기부한 것이 알려져 화제다.
이번 달 4일 오전 부산 동구 경남여고에 한 50대 여성이 대학생 딸과 함께 찾아왔다.
서울에 산다는 이 여성은 학교 발전기금을 내고 싶다는 의사를 학교 측에 밝혔다.
3개월 전 돌아가신 어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발견한 낡은 경남여고 졸업장을 보고 어머니 유산을 기부하기로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었다.
이 여성은 “어머니가 생전에 경남여고를 많이 아끼셨는데 그 뜻을 이어 유산을 학교 후배를 위해 기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성은 학교발전기금 기탁서에 학생 체육 활동에 지원해달라는 의사 표시를 한 뒤 서둘러 자리를 떴다.
기탁서 기부자·기부금 난에는 어머니 이름인 이정자씨 명의로 1억원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
교장까지 나서 이름이라도 알려달라고 했지만, 여성은 딸을 데리고 별말 없이 학교를 떠났다.
나흘 뒤 학교발전기금 계좌에는 약속대로 1억원의 돈이 송금됐다.
학교 측은 기부자 이름을 근거로 오래된 생활기록부를 뒤져보니 이 여성의 어머니인 이정자씨는 1953년 경남여고를 입학해 3년 뒤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씨는 고교 졸업 후에는 이화여대 사범대에 진학했다.
박재봉 경남여고 교장은 “유산을 두고 자식들이 분쟁을 벌이는 요즘인데 별다른 유언이 없는데도 어머니 유산을 기부해주신 뜻이 너무 고맙다”며 “학생들에게 알려 귀감으로 삼고 기부금은 목적에 맞게 사용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번 달 4일 오전 부산 동구 경남여고에 한 50대 여성이 대학생 딸과 함께 찾아왔다.
서울에 산다는 이 여성은 학교 발전기금을 내고 싶다는 의사를 학교 측에 밝혔다.
3개월 전 돌아가신 어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발견한 낡은 경남여고 졸업장을 보고 어머니 유산을 기부하기로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었다.
이 여성은 “어머니가 생전에 경남여고를 많이 아끼셨는데 그 뜻을 이어 유산을 학교 후배를 위해 기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성은 학교발전기금 기탁서에 학생 체육 활동에 지원해달라는 의사 표시를 한 뒤 서둘러 자리를 떴다.
기탁서 기부자·기부금 난에는 어머니 이름인 이정자씨 명의로 1억원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
교장까지 나서 이름이라도 알려달라고 했지만, 여성은 딸을 데리고 별말 없이 학교를 떠났다.
나흘 뒤 학교발전기금 계좌에는 약속대로 1억원의 돈이 송금됐다.
학교 측은 기부자 이름을 근거로 오래된 생활기록부를 뒤져보니 이 여성의 어머니인 이정자씨는 1953년 경남여고를 입학해 3년 뒤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씨는 고교 졸업 후에는 이화여대 사범대에 진학했다.
박재봉 경남여고 교장은 “유산을 두고 자식들이 분쟁을 벌이는 요즘인데 별다른 유언이 없는데도 어머니 유산을 기부해주신 뜻이 너무 고맙다”며 “학생들에게 알려 귀감으로 삼고 기부금은 목적에 맞게 사용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