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들 고통 해결책, 내 사면보다 시급
文 노동 공약 회복해야 노정관계 정상화”
대통령·민주노총 위원장 공개토론 제안
30일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특별사면을 받은 한상균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은 “도저히 웃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복직을 앞둔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이 무기한 휴직 통보를 받은 상황에서 쌍용차지부장 출신인 한 전 위원장만 홀로 축포를 터트릴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면을 예상하지 않았고 신경 쓸 여력도 없다”며 “저보다 더 아프고 힘든 노동자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역에서 고공농성 중인 삼성 해고자 김용희씨를 비롯해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 등 혹한 속에서 고통받는 노동자들에 대한 해결이 자신의 사면보다 더 시급하다는 뜻이다.
법무부는 이날 노동 존중 사회를 향한 화합 차원에서 한 전 위원장에 대해 31일자로 복권 조치를 한다고 밝혔다. 그는 2015년 민중총궐기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형 집행이 끝난 상태다. 한 전 위원장은 “촛불정부답지 않게 여전히 힘든 노동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미약하다”며 현 정부를 향해 쓴소리를 했다. 그러면서 “어디에도 기댈 곳 없는 노동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길을 가기 위해 제 삶의 모든 것을 걸겠다는 본래 마음을 다지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전 위원장은 “정부가 사면을 통해 노정 관계 회복을 꾀하려 했다면 오산”이라고 말했다. 노정 관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문 대통령이 약속했던 노동 관련 공약 사항들부터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과 민주노총 위원장이 한자리에 앉아 논쟁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한 전 위원장은 “정부가 과연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잘 대처하고 있는지 국민들 앞에서 시원하게 논쟁을 해 보자”고 제안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열린 쌍용차 해고노동자 복직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그는 “사용자(회사)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면서 “회사는 해고노동자 출근 투쟁이 예정된 다음달 6일 전까지 지난해 했던 약속을 지키고, 정부도 분명한 입장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文 노동 공약 회복해야 노정관계 정상화”
대통령·민주노총 위원장 공개토론 제안
한상균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면을 예상하지 않았고 신경 쓸 여력도 없다”며 “저보다 더 아프고 힘든 노동자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역에서 고공농성 중인 삼성 해고자 김용희씨를 비롯해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 등 혹한 속에서 고통받는 노동자들에 대한 해결이 자신의 사면보다 더 시급하다는 뜻이다.
법무부는 이날 노동 존중 사회를 향한 화합 차원에서 한 전 위원장에 대해 31일자로 복권 조치를 한다고 밝혔다. 그는 2015년 민중총궐기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형 집행이 끝난 상태다. 한 전 위원장은 “촛불정부답지 않게 여전히 힘든 노동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미약하다”며 현 정부를 향해 쓴소리를 했다. 그러면서 “어디에도 기댈 곳 없는 노동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길을 가기 위해 제 삶의 모든 것을 걸겠다는 본래 마음을 다지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전 위원장은 “정부가 사면을 통해 노정 관계 회복을 꾀하려 했다면 오산”이라고 말했다. 노정 관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문 대통령이 약속했던 노동 관련 공약 사항들부터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과 민주노총 위원장이 한자리에 앉아 논쟁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한 전 위원장은 “정부가 과연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잘 대처하고 있는지 국민들 앞에서 시원하게 논쟁을 해 보자”고 제안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열린 쌍용차 해고노동자 복직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그는 “사용자(회사)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면서 “회사는 해고노동자 출근 투쟁이 예정된 다음달 6일 전까지 지난해 했던 약속을 지키고, 정부도 분명한 입장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9-12-3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