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19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21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1.2.2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신규 확진자수는 주말, 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 등으로 300명대까지 떨어졌지만, 일상 곳곳에 감염 불씨가 있는 만큼 위험도는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정부는 설 연휴와 거리두기 완화, 수도권 다중이용시설 영업제한 완화 등에 따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이번주 확진자 발생 추이에 따라 필요할 경우 거리두기 단계 상향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감염 재생산지수 1 넘어... “유행 확산” 의미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총 332명이다. 300명대 확진자는 지난 15일(343명) 이후 일주일 만이다.
확진자가 300명대까지 떨어졌지만, 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 등에 따른 것인 만큼 최근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에는 이르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를 통한 검사 건수는 1만7804건으로, 직전 평일인 지난주 금요일 4만4639건의 40%에 그쳤다.
현재 주요 방역 지표에는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감염 재생산지수’란 확진자 1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보여주는 지수다. 감염 재생산지수가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하는데, 최근 해당 지수가 다시 1을 넘어선 것이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지난 1월 10∼16일 기준 0.79 수준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주별로 0.82→0.95→ 0.96→0.96을 기록하며 1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냈다. 수도권의 경우 최근 1.1에 가까워졌다.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브리핑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에 대해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1.24 연합뉴스
또한 최근 일주일 동안 신규 확진자수가 하루 평균 494명꼴로 발생한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지역발생 확진자는 하루 평균 466명에 달했다.
이는 거리두기 2.5단계 범위(전국 400명∼5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번주 중반까지 추이 지켜볼 것
필요하면 단계 상향 조치도 검토”이에 대해 정부는 설 연휴와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감염 확산이 본격화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손 반장은 최근 상황에 대해 “감염 양상을 보면 다양한 생활공간에서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며 “‘3밀’(밀접, 밀집, 밀폐) 환경의 제조업, 외국인 근로자 등에서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가족·지인모임, 다중이용시설 등의 지역 집단감염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거리두기 완화와 설 연휴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거리두기 단계를 낮춘 이후 확진자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르면 오는 3월 초부터 새로운 거리두기 단계를 적용하려던 정부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집합금지 최소화 거리두기 개편안은...
18일 서울 한 임시선별진료소 바닥에 붙은 거리두기 안내문이 낡은 모습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21명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3월부터 시행하려는 집합금지를 최소화 거리두기 개편안을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으로 재검토하고 있다. 2021.2.18 연합뉴스
손 반장도 “감소세에 있던 3차 유행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어떻게 전개될지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며 “이번 한 주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필요한 경우 거리두기 단계 및 방역조치 등의 조정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