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준 열사 투사회보체 디지털 글씨체로 되살려
박 열사 글씨 보존해 5월 정신 공유
1980년 ‘5월 항쟁’을 이끌었던 ‘투사회보’를 직접 쓴 고(故) 박용준 열사의 ‘손글씨’가 ‘디지털 글씨체’로 재탄생한다.국가보훈처는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맞아 ‘들불 열사’ 7인 중 1명인 박용준 열사를 조명한다고 16일 밝혔다.
보훈처는 이번 기념식에서 그의 필체를 디지털 글꼴인 ‘투사회보체’로 제작해 기념식 대표 글꼴로 사용한다.
당시 박 열사는 침묵하거나 왜곡하는 기존 언론을 대신해 ‘투사회보’라는 민중 신문을 만들었다.
투사회보는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열리는 시민궐기대회를 안내하고, 중고등학생들에게 무기를 소지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계엄군이 탱크를 몰고 돌고개까지 진격했다며 항쟁 참여를 독려하며 단합을 강조하며 항쟁을 이끌었다.
박 열사는 프린터나 복사기도 없던 시절 한 자 한 자 손 글씨를 써가며 광주의 참상을 알렸다.
들불야학 교사였던 박 열사는 윤상원 열사가 초안을 쓰면 등사지에 옮겨 적었다.
고아였던 그는 보육원을 나와 인쇄소에서 일을 배워 누구보다 글씨를 잘 써 필경을 맡았다.
박 열사는 1980년 5월 27일 광주 YWCA에서 계엄군의 총에 맞아 숨지기 전까지 투사회보를 9차례 발행했다.
그는 들불야학에서 하루에 많게는 5000장의 투사 회보를 만들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은 신군부에 의해 모든 언론이 철저히 통제됐던 당시 광주시민들에게 유일한 소식지였던 ‘투사회보’라는 민중신문을 직접 손글씨로 작성한 박 열사의 글씨체를 되살리기 위해 시민 모금을 시작한다.
투사회보를 직접 작성한 박 열사의 글씨를 보전해 5·18을 겪지 않은 세대와 함께 오월 정신을 공유하기 위해서다.
‘박용준체’는 투사 회보 첫 발간일인 5월 21일에 맞춰 시민들에게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다.
광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